노무라 가쓰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무라 가쓰야는 일본의 전 야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에는 포수로 활약하며 9번의 홈런왕, 7번의 타점왕을 차지하고, 5번의 MVP를 수상하는 등 퍼시픽 리그를 대표하는 선수였다. 1965년에는 타격 3관왕을 달성했고, 1989년에는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은퇴 후에는 해설가로 활동하다가, 난카이 호크스, 야쿠르트 스왈로스, 한신 타이거스, 라쿠텐 골든이글스에서 감독을 역임하며 4번의 리그 우승과 3번의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체육대학 교수 - 하나하라 쓰토무
하나하라 쓰토무는 1964년 도쿄 올림픽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플라이급 금메달리스트이자 일본체육대학 명예교수로, 일본 선수권 6연패 및 올림픽 금메달 획득으로 일본 레슬링 발전에 기여했으며 욱일중수훈장을 수훈받았다. - 일본체육대학 교수 - 야마시타 하루히로
야마시타 하루히로는 일본의 체조 선수이자 지도자로, 도마 종목에서 "야마시타 넘기"를 개발하여 1964년 도쿄 올림픽 금메달과 1966년 세계 선수권 2관왕을 달성했고, 은퇴 후에는 지도자와 협회 요직을 맡으며 체조 발전에 기여, 국제 체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현재는 체육 진학 센터 교장으로 활동 중이다. - 교토부 출신 야구 선수 - 사이토 아키오
사이토 아키오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에서 1977년부터 1993년까지 활약하며, 오른손 투수 최초로 100승 100세이브를 달성하고 신인왕을 수상한 후 은퇴, 야구 해설가와 투수 코치로 활동했다. - 교토부 출신 야구 선수 - 오노 유다이
오노 유다이는 150km/h 이상의 빠른 직구와 다양한 변화구를 던지는 좌투좌타의 일본 프로 야구 투수(주니치 드래곤즈 소속)로, 사와무라 에이지상 수상, 올림픽 금메달 획득, 평균자책점 1위 기록, 투수 2관왕 달성 등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국가대표로도 활동했다. - 야구 선수 겸 감독 - 후루타 아쓰야
후루타 아쓰야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감독, 해설가 및 방송인으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주전 포수로서 뛰어난 타격과 수비 능력으로 MVP를 수상하고 도루 저지율 신기록을 세웠으며, 선수회 회장으로서 파업을 주도하여 선수 권익 신장에 기여했고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을 역임했다. - 야구 선수 겸 감독 - 호너스 와그너
호너스 와그너는 독일 이민자 출신으로 21시즌 동안 내셔널 리그에서 활약하며 여러 차례 타격왕, 타점왕, 도루왕을 차지했고, 피츠버그 파이리츠를 월드 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미국의 야구 선수이다.
노무라 가쓰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노무라 가쓰야 (野村 克也) |
출생일 | 1935년 6월 29일 |
사망일 | 2020년 2월 11일 |
출생지 | 교탄고시, 교토부, 일본 |
사망지 | 세타가야구, 도쿄 도, 일본 |
포지션 | 포수 / 감독 |
타석/투구 | 우타/우투 |
프로 입단 | 1954년 |
첫 출장 (NPB) | 1954년 6월 17일, 난카이 호크스 |
최종 출장 (NPB) | 1980년 10월 3일, 세이부 라이온스 |
선수 경력 | |
선수 | 난카이 호크스 (1954–1977) 롯데 오리온스 (1978) 세이부 라이온스 (1979–1980) |
감독 | 난카이 호크스 (1970–1977) 야쿠르트 스왈로스 (1990–1998) 한신 타이거스 (1999–2001)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06–2009) |
통계 (NPB) | |
타율 | .277 |
안타 | 2,901 |
홈런 | 657 |
타점 | 1,988 |
감독 기록 | |
승패 | 1,565–1,563–76 |
승률 | .500 |
수상 내역 | |
MVP | 5회 (1961, 1963, 1965, 1966, 1973) |
일본 시리즈 우승 (선수) | 2회 (1959, 1964) |
트리플 크라운 | 1965년 |
홈런왕 | 9회 (1957, 1961–1968) |
타점왕 | 7회 (1962–1967, 1972) |
베스트 나인 | 19회 (1956–1968, 1970–1973, 1975, 1976) |
올스타전 MVP | 2회 (1972, 1977) |
일본 시리즈 우승 (감독) | 3회 (1993, 1995, 1997) |
쇼리키 마쓰타로 상 | 1993년 |
명예의 전당 | |
헌액 |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 (1989) |
기타 정보 | |
등번호 | 해당 정보 없음 (결번 정보 없음) |
2. 선수 경력
노무라 가쓰야는 1954년부터 1980년까지 27년 동안 프로 야구 선수로 활약하며 난카이 호크스, 롯데 오리온스, 세이부 라이온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1970년부터 1977년까지는 난카이에서 선수 겸 감독을 맡기도 했다.
교토부 아미노 정(현재의 교탄고시) 출신으로 교토 부립 미네야마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4년 난카이 호크스에 테스트를 거쳐 입단했다.[2] 당시 감독은 노무라가 투구 연습을 위한 포수로서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했다.[1] 그 해 9경기에 출전했지만 안타를 기록하지는 못했다. 호크스는 그를 내보내는 것을 논의했지만, 노무라가 무보수로 뛰겠다고 제안하고 해고될 경우 기차에 몸을 던지겠다고 위협하여 기회를 얻었다고 한다.[1]
1957년에는 야마우치 가즈히로(마이니치 오리온스), 나카니시 후토시(니시테쓰 라이온스) 등의 간판 타자들을 누르고 홈런왕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후 매년과 같이 타이틀을 획득하며 난카이의 황금 시대를 이끌었다. 난카이는 5차례의 리그 우승(1959년, 1961년, 1964년, 1965년, 1966년)을 달성했고, 그 중 1959년과 1964년은 일본 시리즈에 우승했다.
1962년, 벳토 가오루(마이니치)가 갖고 있던 퍼시픽 리그 기록인 시즌 43홈런(1950년)을 경신하는 44개를 기록했고, 1963년에는 고즈루 마코토(쇼치쿠 로빈스)의 프로 야구 기록 시즌 51홈런을 경신한 52개를 기록했다.[300] 52개의 홈런은 이듬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오 사다하루가 55개를 기록한 것에 의해 프로 야구 기록으로서는 경신되었지만, 퍼시픽 리그 기록으로서는 2001년에 터피 로즈가 55개를 기록하여 경신할 때까지 오랫동안 남아 있었다. 포수로서 50개 이상을 기록한 선수는 메이저 리그를 포함해도 노무라가 유일하다.
니시테쓰의 나카니시, 도요다 야스미쓰, 마이니치의 야마우치, 다미야 겐지로, 에노모토 기하치, 도에이 플라이어스의 하리모토 이사오, 오스기 가쓰오, 한큐 브레이브스의 다릴 스펜서, 나가이케 도쿠지, 긴테츠의 도이 마사히로, 나가부치 요조 등 강타자가 많았던 당시의 퍼시픽 리그에서 8년 연속 홈런왕(1961년 ~ 1968년) 등의 대기록을 남겼다. 1965년에는 전후 처음으로 타격 부문 3관왕을 달성했다.[301]
1970년부터 1977년까지는 선수 겸 감독을 맡았다. 감독 겸임 첫 해인 1970년에는 선수로서 전 경기에 출전하여 42홈런 114타점을 기록했고,[87] 1972년에는 7번째 타점왕(101타점)을 획득했다.[88] 1973년에는 난카이 호크스를 퍼시픽 리그 우승으로 이끌었고, 선수로서도 5번째 시즌 MVP를 수상했다.[89] 감독 겸임 8년 동안 200개의 홈런을 기록했다.
1977년 시즌 종료를 2경기 남겨둔 9월 28일, 난카이 호크스 감독에서 해임되었다.[93] 해임 이유는 당시 애인 관계였던 노무라 사치요(당시 이토 요시에)의 "팀·선수에 대한 간섭, 잦은 사생활 혼동"이었다.[93] 이후 가네다 마사이치 감독의 제안을 받아 롯데 오리온스로 이적했다.
느린 주루 플레이에도 불구하고 통산 117개의 도루를 기록했는데, 그 중 홈스틸은 7차례, 3루 도루는 두 차례였다. 통산 2901개의 안타를 기록하며 선수 경력을 마쳤다.[4]
2. 1. 난카이 호크스 시절 (1954년 ~ 1977년)
교토부 출신으로 교토 부립 미네야마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4년에 난카이 호크스에 연습생으로 입단하여 포수로 활약하였다. 1957년에는 야마우치 가즈히로(마이니치 오리온스), 나카니시 후토시(니시테쓰 라이온스) 등의 간판 타자들을 누르고 홈런왕 타이틀을 획득했고 이후 매년과 같이 타이틀을 획득하는 등 난카이의 황금 시대를 이끌었다. 난카이는 5차례의 리그 우승(1959년, 1961년, 1964년, 1965년, 1966년)을 달성했는데 그 중 1959년과 1964년은 일본 시리즈에 우승했다.1968년부터 난카이의 코치 겸임으로 발탁되었고,[75] 1970년에는 성적 부진으로 사임한 이이다 도쿠지 감독의 뒤를 이어 난카이의 차기 감독으로 취임했다. 감독과 선수를 겸임하는 플레잉 매니저로서 ‘4번 타자’, ‘포수’, ‘감독’이라는 3개의 중책을 혼자서 담당하게 되었다. 감독 겸임으로 발탁된 이후에도 불방망이는 건재했고 1970년 시즌에 오스기 가쓰오에 뒤를 이은 42개의 홈런을 기록, 같은 해 10월 18일의 니시테쓰전에서는 역대 네 번째가 되는 통산 2000안타를 달성했다. 1972년에는 타점왕을 획득했다.
약체화하고 있던 팀을 개혁하여 1973년에 리그 우승을 달성했는데 당시 퍼시픽 리그에서 도입된 플레이오프 제도를 최대한으로 이용했다. 선수로서도 3할 9리의 타율, 28홈런, 96타점 등의 성적을 남겨 시즌 MVP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일본 시리즈 맞대결에서 1승 4패의 성적을 기록하여 팀은 패했지만 자신은 일본 시리즈 감투상을 수상했고, 같은 해 다이아몬드 글러브상(현재의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1976년에 에모토 다케노리와의 트레이드로 한신 타이거스에서 획득한 에나쓰 유타카가 이적 1년째에 기대 이하의 성적을 남기면서 에나쓰를 구원 투수로 전향시키려고 결심했다. 에나쓰에게 “프로 야구계의 혁명을 일으켜보자”라고 설득했고 에나쓰는 이듬해 1977년 6월부터 구원 투수로 전향하면서 그 해 시즌 19세이브를 기록해 최우수 구원 투수를 차지했다. 에나쓰는 “ ‘혁명’이라고 말해지지 않았으면 구원 투수로의 전향은 OK 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에나쓰의 이 활약이 구원 투수 역할의 중요성을 야구계에 인식시켜 선발, 중간 계투, 마무리 투수라는 투수의 분업을 본격적으로 보급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1977년 9월 28일, 시즌 종료까지 2경기를 남겨둔 채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해임 후에는 향후 거취에 대해서 고민하는 등 주변에서 은퇴를 권유받았지만 현역 생활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이전부터 입단 제의를 받았던 롯데 오리온스에 이적했다. 난카이 선수들 가운데 노무라의 감독 해임에 반대하고 있던 가시와바라 준이치와 에나쓰 유타카는 각각 닛폰햄 파이터스,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 이적했고 코치 다카바타케 미치히로도 난카이를 퇴단하여 노무라와 함께 롯데에 이적했다. 그 해를 마지막으로 난카이는 A클래스(1위 ~ 3위, 상위권을 지칭하는 일본 언론의 표현)에 단 한 번도 진입하지 못했고 1989년 다이에에 매각되면서 호크스의 연속 B클래스는 1997년까지 20년 동안 계속되었다.
2. 1. 1. 레귤러 획득까지
교토부 다케노군 아미노정(현재의 교탄고시)에서 태어나 교토 부립 미네야마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54년 난카이 호크스에 테스트 입단했다.[2] 당시 난카이 감독은 노무라가 투구 연습을 위한 포수로서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했다.[1] 그 해 노무라는 9경기에 출전했지만 안타를 기록하지 못했다.3학년 때, 노무라는 요미우리의 테스트생 모집 신문 광고를 보고 요미우리 입단 테스트를 받으려 했으나, 미네야마 고등학교의 시미즈 선생으로부터 난카이 입단 테스트를 권유받았다. 9월에 1차, 11월에 2차 테스트를 거쳐 난카이 합격이 결정되었다.[41]
하지만 이미 가네보와 국철 (후쿠치야마 철도 관리국)로부터 내정을 받은 상태였기 때문에, 어머니와 형은 프로 입단을 반대했다.[46] 호크스는 노무라를 해고하려 했으나, 노무라가 무보수로 뛰겠다고 제안하고 해고될 경우 기차에 몸을 던지겠다고 위협하여 기회를 얻었다고 한다.[1]
2. 1. 2. 전후 최초의 3관왕
1965년, 노무라는 리그 최초로 타격 3관왕을 달성했다.[301] 1960년대 당시 퍼시픽 리그에는 나카니시 후토시, 도요다 야스미쓰(이상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야마우치 가즈히로, 다미야 겐지로, 에노모토 기하치(이상 지바 롯데 마린스), 하리모토 이사오, 오스기 가쓰오(이상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다릴 스펜서, 나가이케 도쿠지(이상 오릭스 버펄로스), 도이 마사히로, 나가부치 요조(이상 긴테쓰) 등 강타자들이 많았다. 노무라는 이러한 경쟁 속에서 1961년부터 1968년까지 8년 연속 홈런왕을 차지하는 대기록을 세웠다.1962년, 노무라는 벳토 가오루(마이니치)가 1950년에 기록한 퍼시픽 리그 시즌 최다 홈런 기록(43개)을 경신하는 44개의 홈런을 기록했다. 1963년에는 고즈루 마코토(쇼치쿠 로빈스)의 프로 야구 기록 시즌 51홈런을 경신하는 52개의 홈런을 기록했다.[300] 비록 이듬해 오 사다하루(요미우리 자이언츠)가 55개를 기록하여 프로 야구 기록은 경신되었지만, 52홈런은 2001년 터피 로즈가 55개를 기록할 때까지 퍼시픽 리그 기록으로 오랫동안 남아 있었다. 포수로서 50개 이상의 홈런을 기록한 선수는 메이저 리그를 포함해도 노무라가 유일하다.
그러나 노무라의 기록은 이후 다른 선수들에 의해 깨졌다. 1964년에는 연간 최다 홈런 기록을 오 사다하루에게, 1973년에는 통산 최다 홈런 기록, 1978년에는 통산 최다 타점 기록을 오 사다하루에게 내주었다. 통산 최다 안타 기록은 하리모토 이사오에게 넘어갔다.
2. 1. 3. 선수 겸 감독 시절
1957년에는 야마우치 가즈히로(마이니치), 나카니시 후토시(니시테쓰) 등 쟁쟁한 강타자들을 제치고 홈런왕 타이틀을 획득했다.[300] 스기우라 타다시, 히로세 슈코, 미나가와 무쓰오 등과 함께 난카이의 황금 시대에 크게 공헌했다. 난카이는 1959년, 1961년, 1964년, 1965년, 1966년에 리그 우승을 달성했으며, 그 중 1959년과 1964년에는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1962년에는 벳토 가오루(마이니치)가 가지고 있던 퍼시픽 리그 기록인 시즌 43홈런(1950년)을 넘어 44홈런을 기록했다. 1963년에는 고즈루 마코토(쇼치쿠 로빈스)의 프로 야구 시즌 기록 51홈런을 깨는 52홈런을 기록했다.[300] 52홈런은 이듬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오 사다하루가 55홈런을 치면서 프로 야구 기록으로 경신되었지만, 퍼시픽 리그 기록으로는 2001년에 터피 로즈가 55홈런을 쳐서 경신할 때까지 오랫동안 남아 있었으며, 포수로서 50홈런 이상을 친 선수는 메이저 리그를 포함해서 노무라뿐이다.
니시테쓰의 나카니시, 도요다 야스미쓰, 마이니치의 야마우치, 다미야 겐지로, 에노모토 기하치, 도에이 플라이어스의 하리모토 이사오, 오스기 가쓰오, 한큐 브레이브스의 다릴 스펜서, 나가이케 도쿠지, 긴테츠의 도이 마사히로, 나가부치 요조 등의 강타자가 많았던 당시의 퍼시픽 리그에서 8년 연속 홈런왕(1961년 ~ 1968년) 등의 대기록을 남겼다. 1965년에는 전후 처음으로 타격 부문 3관왕을 달성했다.[301]
1968년부터 난카이의 코치 겸임으로 발탁되었고[75] 1970년에는 성적 부진으로 사임한 이이다 도쿠지 감독에 뒤를 이어 난카이의 차기 감독으로 취임했다. 감독과 선수를 겸임하는 플레잉 매니저로서 ‘4번 타자’, ‘포수’, ‘감독’이라는 3개의 중책을 혼자서 담당하게 되었다. 감독 겸임으로 발탁된 이후에도 불방망이는 건재했고 1970년 시즌에 오스기 가쓰오에 뒤를 이은 42개의 홈런을 기록, 같은해 10월 18일의 니시테쓰전에서는 역대 네 번째가 되는 통산 2000안타를 달성했다. 1972년에는 타점왕을 획득했다.
약체화 하고 있던 팀을 고쳐 세워 1973년에 리그 우승을 달성했는데 당시 퍼시픽 리그에서 도입된 플레이오프 제도를 최대한으로 이용했다. 선수로서도 3할 9리의 타율, 28홈런, 96타점 등의 성적을 남겨 시즌 MVP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일본 시리즈 맞대결에서 1승 4패의 성적을 기록하여 팀은 패했지만 자신은 일본 시리즈 감투상을 수상했고, 같은 해 다이아몬드 글러브상(현재의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1976년에 에모토 다케노리와의 트레이드로 한신 타이거스에서 획득한 에나쓰 유타카가 이적 1년째에 기대 이하의 성적을 남기면서 에나쓰를 구원 투수로 전향시킬려고 결심했다. 에나쓰에게 “프로 야구계의 혁명을 일으켜보자”라고 설득했고 에나쓰는 이듬해 1977년 6월부터 구원 투수로 전향하면서 그 해 시즌 19 세이브를 기록해 최우수 구원 투수를 차지했다. 에나쓰는 “ ‘혁명’이라고 말해지지 않았으면 구원 투수로의 전향은 OK 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에나쓰의 이 활약이 구원 투수 역할의 중요성을 야구계에 인식시켜 선발, 중간 계투, 마무리 투수라는 투수의 분업을 본격적으로 보급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1977년 9월 28일, 시즌 종료까지 2경기를 남겨둔 채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2. 2. 롯데 오리온스·세이부 라이온스 시절 (1978년 ~ 1980년)
노무라는 1970년부터 1977년까지 난카이 호크스의 선수 겸 감독을 맡았다.[5] 감독 겸임 첫 해인 1970년에는 선수로서 전 경기에 출전하여 42홈런 114타점을 기록했고,[87] 1972년에는 7번째 타점왕(101타점)을 획득했다.[88] 1973년에는 난카이 호크스를 퍼시픽 리그 우승으로 이끌었고, 선수로서도 5번째 시즌 MVP를 수상했다.[89] 감독 겸임 8년 동안 200개의 홈런을 기록했다.1977년 시즌 종료를 2경기 남겨둔 9월 28일, 노무라는 난카이 호크스 감독에서 해임되었다.[93] 해임 이유는 당시 애인 관계였던 노무라 사치요(당시 이토 요시에)의 "팀·선수에 대한 간섭, 잦은 사생활 혼동"이었다.[93]
이후 1977년 11월, 가네다 마사이치 감독의 제안을 받아 롯데 오리온스로 이적했다.
3. 은퇴 후
2009년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 단계에서 패배한 후, 노무라는 74세의 나이로 감독에서 은퇴했다.[7] 퇴임 후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명예 감독을 역임했다.[24][25] 2010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산케이 스포츠 야구 평론가로 활동하며, 많은 저서를 집필하고 TV 출연을 했다. 니혼 체육 대학 객원 교수도 역임했다.
2005년 9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는 팀 재건을 이유로 창단 감독 다오 야스시를 성적 부진으로 경질했다. 이때 노무라는 라쿠텐으로부터 비공식적으로 감독 제의를 받았지만, 계약 조건과 기요하라 가즈히로 영입 문제 등으로 난항을 겪었다. 10월 3일, 사회인 야구 시다스 감독직에서 물러나면서 라쿠텐 감독 요청을 수락, 5년 만에 프로 야구계에 복귀했다(3년 계약).
일본 프로 야구에서 70대 감독은 오기 아키라에 이어 역대 두 번째였으며,[308] 1년 간 감독을 계속 맡으면서 오기 아키라의 최고령 감독 기록을 경신했다.
2006년 5월 16일, 교류전 야쿠르트전(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에서 후루타 아쓰야 감독과의 사제 대결이 성사되었고(결과는 10-9로 야쿠르트 승리), 이후 5차전까지 야쿠르트가 모두 이겼지만, 우천 취소로 인한 예비일(6월 19일)에 치른 6차전에서 4-2로 승리해 야쿠르트의 교류전 단독 우승 가능성을 없앴다.
라쿠텐 감독 부임 후, 자기 팀 선수가 홈런을 쳐도 벤치에 앉아 있던 이전과 달리 벤치에서 나와 하이파이브를 하며 격려했다. 변함없는 독설과 함께 기자 질문에 농담이나 유머를 섞어 답변했고, 스포츠 뉴스에서는 경기 직후 노무라의 발언을 전했다. 특히 다나카 마사히로 등판 날에는 “마군, 신의 아이, 이상한 아이”, “이상한 나라의 마군” 등의 말을 남겨, 스포츠 신문에는 “노무라 어록” 코너가 생겼다.
육성 방침은 기본적으로 때리며 늘리는 타입이었지만, 라쿠텐에서는 활약하거나 진보하는 선수에게는 격려나 칭찬을 하는 등 이전과 다른 면을 보였다(나이가 들면서 ‘성격이 둥글어졌다’는 의견이 많다). 다만, 아들 노무라 가쓰노리를 낮은 타율과 약한 어깨에도 계속 기용한 것에 대해서는 팬들 사이에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가쓰노리는 2006년 방출 통보를 받고 은퇴, 2군 육성 코치로 발탁되었다(이후 2008년 1군 배터리 코치). 2006년 시즌 후(11월) 열린 미·일 야구 일본 대표팀 감독을 맡았지만, 선수들의 출전 포기가 잇따르면서 고전, 역사상 처음으로 메이저 리그 선발팀에게 5전 전패를 당했다.
2006년 11월 23일, 라쿠텐 팬 감사제에서 노무라는 다음 시즌 성적과 관련, 자신의 거취에 대한 발언을 했다.
“내년은 죽을 각오로 하겠다. 성적이 안 좋으면 유니폼을 벗겠다.”
노무라의 발언에 라쿠텐 구단과 요네다 준 구단 대표는 곤혹스러워했다. 노무라 감독은 취임 초부터 ‘만드는 해, 싸우는 해, 이기는 해’라고 천명, 3년 간 팀을 만들겠다는 방침을 말했지만, 2007년은 3년 계약의 2년째이자 ‘싸우는 해’였다. 11월 26일 구단 납회식에서 시마다 도루 구단 사장은 발언 재고나 철회를 요구했지만, 노무라는 거부했다. 11월 28일 라쿠텐 경영자문위원회에서 미키타니 히로시 구단주와 도호쿠 지역 재계 관계자들은 A클래스 진입까지 사임하지 않기를 바라며 장기 감독직을 주장했다. 그러나 노무라는 “성적이 나쁘면 사직서를 제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내년 시즌에는 자신의 야구 생명을 걸겠다”라고 말하며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2007년 시즌, 신인을 포함한 젊은 선수들을 적극 기용했다. 투수진에서는 이치바 야스히로, 이와쿠마 히사시 등이 시즌 초반 이탈, 나가이 레이, 다나카 마사히로 등을 선발 로테이션에 기용했다. 포수는 육성을 겸해 루키 시마 기히로를 기용했다. 시즌 중반에는 와타나베 나오토, 쿠사노 다이스케 등이 두각을 나타냈다. 후반전 개시 직후 후쿠모리 카즈오가 이탈했지만 코야마 신이치로를 구원 에이스로 기용, 이치바와 이와쿠마가 1군 복귀하며 선발 로테이션을 재편, 야마무라 히로키, 아리메 켄큐, 나가이 등을 구원으로 전향시켰다. 야마자키 타케시가 38세에 홈런왕·타점왕 2관왕을 차지하는 맹활약으로 시즌 최종 성적은 4위, 창단 3년 만에 처음으로 최하위를 벗어났다. 2007년 10월 4일, 3년 계약 마지막 해인 2008년에도 감독을 계속할 것을 표명했다.
2008년 6월 29일 소프트뱅크전에서 구단 최다 20안타 맹공으로 15점을 뽑아 대승했다. 이날은 73세 생일로, 7년 만의 생일 승리였으며, 선수들이 준비한 모자 모양 케이크로 축하받았다. 7월 5일, 대 세이부전(세이부 돔)에서는 "라이온즈 클래식" 기획으로, 당시(1963년) 일본 기록인 노무라의 52홈런 달성 무대인 니시테쓰 라이온즈 대 난카이 호크스전을 재현하는 이벤트가 열렸다(경기에서는 토요다 야스미츠(전 니시테쓰)가 시구, 노무라가 포수를 맡았다).
같은 해 7월 15일, 니혼햄(도쿄 돔)전에서 감독 통산 3,000경기 출장을 달성, 선수로서도 통산 3,017경기 출장, 선수·감독 양쪽 3,0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초반에 구단 최초 단독 선두가 되었지만 교류전 후반부터 부진, 최종전에서 승리하며 최하위 탈출, 5위로 마감했다. 2007년과 달리 득실점차는 플러스였고, 에이스 이와쿠마 히사시가 21승을 거두며 부활하는 등 전력 정비는 진행되었지만, 순위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시즌을 끝으로 3년 계약이 종료, 거취가 주목되었지만, 구단은 전력 정비를 평가, 1년 계약 연장 요청을 했다. 노무라는 수락, 2009년에도 라쿠텐을 지휘하게 되었지만, 도밍고 구스만과 호세 페르난데스(나카무라 노리히로를 FA로 획득)가 퇴단했다.
2009년 시즌, 사토 요시노리를 다시 투수 코치로 초빙했다.[172] 개막부터 투수진 중심으로 부상자가 속출했다. 드래프트에서 획득한 신인 투수 전원이 오픈전 전에 부상, 카타야마 히로시나 아오야마 코지 등 기대주도 캠프에서 늦어졌고, 전년 활약한 신 수호신 가와기시 츠요시도 개막 후 바로 몸을 다치는 등, 투수는 취임 이래 재앙이었다. 타카스 요스케나 릭 쇼트 등도 부상으로 장기간 전선 이탈하는 등 부상자가 많았다. 스포츠 신문 해설자 순위 예상에서 라쿠텐은 일제히 하위 예상되었고, 노무라는 "하마평이 낮으니 편하다"라고 언급했다.
정규 시즌 개막, 팀 최초 개막 4연승으로 4월을 선두로 마감했다. 4월 29일에는 감독 통산 1500승을 달성, 4경기 연속 완투 승리한 다나카 마사히로로부터 위닝 볼을 받았다. 그러나, 부상자가 속출한 5월 이후 컨디션이 떨어져, 교류전에서는 최대 6연패, 7월에는 3년 만의 8연패, 5위까지 후퇴했지만, 8월에 최대 6연승 포함 통산 17승 7패. 9월 이후에도 호조를 유지, 9월 12일 소프트뱅크전(야후 돔)에서 팀 최초 클라이맥스 시리즈 (CS) 진출 매직 넘버 "19"가 점등. 2번 소멸하지만, 10월 3일 대 세이부전(K스타 미야기)에서 승리, 팀 최초 CS 진출이 결정되었다. 9일 오릭스전에서 2위 확정, CS 제1 스테이지 홈 개최권을 획득했다. 라쿠텐 구단 창설 후 첫 A클래스 진입, 노무라 자신도 야쿠르트에서 마지막 우승(1997년) 이후 8시즌 만이었다. 11승을 더 거두면서, 감독 통산 승률을 5할로 되돌렸다.
11일 K스타 미야기에서 열린 정규 시즌 최종전(소프트뱅크전) 종료 후, 구단은 계약을 갱신하지 않겠다고 통보, 시즌을 끝으로 퇴임이 결정되었다. 16일 CS 제1 스테이지 경기 전 미팅에서, 일본 제일이 되더라도 계약은 갱신하지 않겠다고 선수에게 알리고 눈물을 흘렸다. 미하라 오사무가 가진 감독 통산 최다 기록 3248경기에 44경기에 다가섰다.
16일 개막 CS 제1 스테이지, 소프트뱅크에 2연승, 제2 스테이지 진출을 결정했지만, 21일 개막 제2 스테이지, 니혼햄에 1승 4패, 일본 시리즈 진출은 실패했다. 니혼햄 CS 우승 세레모니 후, 라쿠텐과 니혼햄 양군 선수·코치에게 헹가래를 받았다. 니혼햄에 패배한 10월 24일이 노무라의 현역, 감독 마지막 날이었다. 11월 2일, 라쿠텐 신임 감독으로 히로시마 전 감독 마티 브라운 취임 발표, 거부 자세를 보였던 명예 감독 취임 요청을 수락했다. 이 해를 마지막으로 현장에서 완전히 은퇴했다.
퇴임 결정 시 "인생에 지쳤다. 해고라고 들으니, 확 피로가 몰려왔다"라고 말했다. "유니폼 차림도 드디어 초읽기지만, 역시 나는 '전 난카이'가 좋다"라고도 말했다.
3. 1. 해설가 시대
선수 은퇴 후에는 야구 평론가로 활동했다. TV 중계에서 타자 심리를 해설하는 노무라 스코프가 화제를 모았다.[21]3. 2. 감독 경력
노무라 가쓰야는 1970년 호크스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24년간의 감독 경력을 시작했다. 호크스 감독으로 8년 동안 팀을 이끌며 1973년 퍼시픽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선수 생활을 마친 후 전임 감독이 되었다. 1990년부터 1998년까지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을 맡아 4번의 리그 우승과 3번의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7] 야쿠르트 감독 시절, 팀의 포수 후루타 아쓰야를 지도했는데, 노무라의 지도 아래 후루타는 성공적인 선수 생활을 했고, 명예의 전당에 오르는 포수가 되었다.[8]야쿠르트 감독에서 물러난 후, 1999년부터 2001년까지 한신 타이거스 감독을 맡았지만, 3시즌 모두 센트럴 리그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9] 2001년 12월, 아내 노무라 사치요가 탈세 혐의로 체포되자, 노무라는 다음 날 감독직에서 사임했다.[10]
이후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실업 야구팀 시다스 감독을 맡았다. 2005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는 창단 첫 시즌에 부진한 모습을 보였는데, 팀은 노무라의 경험을 바탕으로 그를 감독으로 고용했다.[9] 노무라는 4시즌 동안 라쿠텐의 상황을 반전시키는 데 기여했고, 팀의 마지막 시즌에는 정규 시즌을 역대 최고 성적인 2위로 마감하며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을 확정했다. 2009년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 단계에서 패배한 후, 노무라는 74세의 나이로 감독에서 은퇴했다.[7]
프로 야구 감독으로서 3204경기(역대 2위) 1565승(역대 5위) 1563패(역대 최다)를 기록했다[22]. 그 중 "헤이세이"(1989년 1월 8일 - 2019년 4월 30일) 기간의 승리 수 1053은 같은 시대의 최다 기록이다[23]. 시즌 우승 5회는 역대 9위, 일본 시리즈 우승 3회는 역대 6위.
3. 2. 1.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 시절 (1990년 ~ 1998년)
1995년에는 투수 이시이 가즈히사, 야마베 후토시, 다카쓰 신고, 야수 후루타 아쓰야, 도바시 가쓰유키, 이케야마 다카히로, 이이다 데쓰야 외에도 신인이자 외야수인 이나바 아쓰노리, 새로 입단한 외국인 선수이자 투수인 테리 브로스가 활약했다. 또한 한신에서 자유 계약 선수로 있던 1루수 토머스 오말리, 지바 롯데 마린스에서 활약했던 3루수 헨슬리 뮬렌, 긴테쓰와의 사이에서 니시무라와의 트레이드로 입단한 요시이 마사토 투수 등 이적해 온 선수들도 좋은 모습을 보였다. 작년 오프에 주포였던 히로사와 가쓰미(FA 제도를 이용)와 하웰이 요미우리로 이적했지만, 이들의 공백을 충분히 메우며 안정된 활약을 펼친 끝에[305] 2년 만에 센트럴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오릭스 블루웨이브와 맞붙었는데, 이치로에게 몸쪽 높은 속구를 의식시키면서 오릭스의 타선을 봉쇄하여 4승 1패로 야쿠르트 감독으로서 통산 두 번째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1996년에는 주력 선수들의 부진과 투수진 붕괴로 우승권에서 멀어졌고, 종반에는 이닝 연속 무득점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리그 기록을 경신하는 등 결국 4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1997년 개막전(요미우리전)에서는 작년 시즌 종료 후 히로시마에서 트레이드로 영입한 고바야카와 다케히코가 에이스 사이토 마사키로부터 3개의 홈런을 때려내는 등 팀은 승리했고, 야쿠르트는 그대로 개막 이후 연승을 이어갔다. 8월에는 요코하마와의 치열한 선두 경쟁을 펼쳤지만, 최종적으로는 단 한 번도 선두 자리를 넘겨주지 않고 2위 요코하마와의 11경기차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일본 시리즈에서도 세이부를 꺾고 통산 세 번째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그 해 활약한 선수들 중에는 투수 이시이 가즈히사, 요시이 마사토, 다바타 가즈야(다이에로부터 획득), 야수 후루타 아쓰야, 도바시 가쓰유키, 이케야마 다카히로, 미야모토 신야, 마나카 미쓰루, 이나바 아쓰노리, 시즌 전에 혹평을 받은 드웨인 호지 등이 있었다. 또한 1996년에 다바타와 함께 호크스에서 이적한 사토 신이치, 아오야기 스스무, 1996년에 세이부에서 이적한 쓰지 하쓰히코, 오릭스에서 이적한 바바 도시후미,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테스트로 입단한 노나카 데쓰히로 등도 팀에 기여했다.
이듬해 1998년에는 B클래스에 해당되는 4위로 추락하면서 시즌 종료 후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야쿠르트 구단은 노무라 가쓰야 감독이 구단 최초로 4차례 리그 우승과 3차례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여 '역대 최고의 명장'이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3. 2. 2. 한신 타이거스 감독 시절 (1999년 ~ 2001년)
1998년 일본 프로 야구 시즌 후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에서 물러난 노무라 가쓰야는 1999년 한신 타이거스 감독으로 취임했다.[9] 그러나 한신 감독 시절은 성공적이지 못하여,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 연속 센트럴 리그 최하위(6위)라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9]2001년 12월 5일, 노무라 가쓰야의 아내이자 텔레비전 연예인이었던 노무라 사치요가 탈세 혐의로 체포되었다.[10] 그녀는 남편 수입 중 4500만엔을 숨긴 혐의를 받았고, 노무라 가쓰야는 다음 날 한신 감독직에서 사임했다.[11]
3. 2. 3. 사회인 야구팀 시닥스 감독 시절 (2002년 ~ 2005년)
노무라는 스캔들 이후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실업 야구팀인 시닥스의 감독을 맡았다. 3시즌 후, 노무라는 일본 프로 야구(NPB)로 복귀하기 위해 팀을 떠났다.[9]3. 2. 4.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감독 시절 (2006년 ~ 2009년)
東北楽天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일본어는 2005년 창단 시즌에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한 시즌에 90경기 이상 패배한 것은 40년 만에 처음이었다. 38승 97패 1무의 성적으로 시즌을 마쳤다. 두 번째 시즌을 위해 개선을 희망하며, 팀은 노무라 가쓰야의 경험을 바탕으로 그를 감독으로 고용했다.[9] 이후 4시즌 동안 라쿠텐의 상황을 반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팀에서의 마지막 시즌에 이글스는 정규 시즌을 역대 최고 성적인 2위로 마감하여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을 확정했다. 2009년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 단계에서 패배한 후 노무라는 74세의 나이로 감독에서 은퇴했다. 감독으로서 NPB 역사상 5번째로 많은 1,565승을 기록했다.[7]2005년 9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구단주인 미키타니 히로시는 "팀의 재구축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초대 감독인 다오 야스시를 취임 1년도 안 되어 해임했다. 라쿠텐은 전 일정 종료 전인 9월 22일 밤에 시마다 도루 구단 사장, 요네다 준 구단 대표, 이노우에 토모하루 구단주 대행이 노무라를 찾아 감독 취임을 요청했다.[164] 노무라는 시다에게 "아마추어 야구는 즐겁다. 도시 대항 우승이라는 숙제가 남아 있으니 시다스 감독을 계속하고 싶지만, 마지막은 시다 씨가 결정해 주셨으면 한다"고 말하고 판단을 맡겼는데, 시다는 프로 야구계 복귀를 지지하는 의사를 나타냈다.[165] 이에 라쿠텐의 취임 요청을 정식으로 수락하고, 사회인 일본 선수권을 마지막으로 시다스를 퇴단하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 노무라의 매니저였던 우메자와 나오미쓰에 따르면 시다스를 떠나는 것은 노무라의 본심이 아니었고, 라쿠텐 감독 취임 작업을 성공시킨 사치요와 언쟁을 벌였다고 한다. 우메자와는 이 때 노무라로부터 "나는 아마추어를 사랑한다. 시다스가 좋았고, 시다스가 즐거웠다"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166]
라쿠텐의 감독 취임 요청을 수락함에 따라, 10월 3일에 시다스의 감독을 퇴임하는 것을 발표했다. 마지막으로 지휘를 맡았던 제32회 사회인 야구 일본 선수권 대회 1회전에서는, 일본 생명에 1대 2로 패했다. 일본 야구 연맹은 노무라에게 이 해에 사회인 베스트 나인 특별상을 수여했다.
일본 프로 야구에서 70대의 나이에 감독으로 발탁된 사례는 오기 아키라(2005년 오릭스 버펄로스 감독으로 1년간 지휘했지만 같은 해 12월 15일에 사망)에 이어 역대 두 번째였고,[308] 1년 간 감독을 계속 맡으면서 오기 아키라가 가진 최고령 감독 기록을 경신했다.
5월 16일, 센트럴·퍼시픽 교류전 야쿠르트전(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에서 야쿠르트를 이끄는 후루타 아쓰야 감독과의 사제 대결이 실현되었다(결과는 10-9로 야쿠르트 승리). 이후 이 사제 대결은 5차전까지 모두 야쿠르트가 이겼지만 우천 취소로 인한 예비일(6월 19일)에 치른 6차전에서 4-2로 승리해 야쿠르트의 교류전 단독 우승 가능성을 소멸시켰다.
이전에는 자기 팀 선수가 홈런을 쳐도 벤치에 앉은 채 나오지 않았지만, 라쿠텐 감독 부임 이후에는 벤치에서 나와 홈런을 때린 선수와 하이파이브를 하며 격려했다. 변함없는 독설도 자주 나왔지만, 기자 질문에 농담이나 유머를 섞어 답변했고, TV 스포츠 뉴스에서는 매번 노무라의 경기 직후 발언을 보도했다. 특히 다나카 마사히로 등판 날의 발언에는 “마군, 신의 아이, 이상한 아이”, “이상한 나라의 마군” 등의 말을 남겨 스포츠 신문 등에서는 “노무라 어록”이라는 코너가 신설되기도 했다.
육성 방침은 기본적으로 받아 치며 늘리는 타입이지만, 최근 활약하거나 진보하는 선수에게는 격려나 칭찬을 하는 등 이전과는 다른 면을 보이기 시작했다(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성격이 둥글어졌다’는 의견이 많다). 다만 아들 노무라 가쓰노리를 낮은 타율과 약한 어깨에도 불구하고 계속 기용했던 것에 대해서는 팬들 사이에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가쓰노리는 2006년 방출 통보를 받은 것을 계기로 현역에서 은퇴해 새로 신설된 2군 육성 코치로 발탁되었다(이후 2008년에 1군 배터리 코치로 발탁됨). 2006년 정규 시즌 종료 후(11월) 열린 미일 야구 대회 일본 대표팀 감독을 맡았지만 선수들의 출전 포기가 잇따르면서 고전했고, 역사상 처음으로 메이저 리그 선발팀에게 5전 전패를 당하는 수모를 겪어 72년 만의 기록을 세웠다.
2006년 11월 23일 라쿠텐 팬 감사제에서 노무라는 다음 시즌 성적과 관련해 자신의 향후 거취에 대한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이 발언으로 인해 라쿠텐 구단과 요네다 준 구단 대표도 갑작스런 사태에 곤혹스러워했다. 노무라 감독은 취임 초부터 ‘만드는 해, 싸우는 해, 이기는 해’라고 천명하여 3년에 걸쳐 팀을 만들겠다는 방침을 말했지만, 2007년은 3년 계약의 2년째이자 ‘싸우는 해’에 해당된다. 11월 26일 구단 납회식에서 시마다 도루 구단 사장으로부터 위 발언에 대해 재고 또는 철회해달라고 요구했지만 거부했다. 11월 28일 라쿠텐 경영자문위원회에 참석하여 미키타니 히로시 구단주와 도호쿠 지역 재계 관계자들이 A클래스 진입에 성공할 때까지 사임하지 않기를 바라며 감독직을 오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노무라는 “성적이 나쁘면 사직서를 제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생각하며 내년 시즌에는 자신의 야구 생명을 걸겠다”라고 말하는 등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3. 3.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감독 퇴임 후
2005년 9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는 팀 재건을 이유로 창단 감독 다오 야스시를 성적 부진으로 경질했다. 이때 노무라는 라쿠텐으로부터 비공식적으로 감독 제의를 받았지만, 계약 조건과 기요하라 가즈히로 영입 문제 등으로 난항을 겪었다. 하지만 10월 3일, 사회인 야구 시다스 감독직에서 물러나면서 라쿠텐 감독 요청을 수락, 5년 만에 프로 야구계에 복귀했다(3년 계약).일본 프로 야구에서 70대 감독은 오기 아키라에 이어 역대 두 번째였으며,[308] 1년 간 감독을 계속 맡으면서 오기 아키라의 최고령 감독 기록을 경신했다.
2006년 5월 16일, 교류전 야쿠르트전(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에서 후루타 아쓰야 감독과의 사제 대결이 성사되었고(결과는 10-9로 야쿠르트 승리), 이후 5차전까지 야쿠르트가 모두 이겼지만, 우천 취소로 인한 예비일(6월 19일)에 치른 6차전에서 4-2로 승리해 야쿠르트의 교류전 단독 우승 가능성을 없앴다.
이전에는 자기 팀 선수가 홈런을 쳐도 벤치에 앉아 있었지만, 라쿠텐 감독 부임 후에는 벤치에서 나와 하이파이브를 하며 격려했다. 변함없는 독설과 함께 기자 질문에 농담이나 유머를 섞어 답변했고, 스포츠 뉴스에서는 경기 직후 노무라의 발언을 전했다. 특히 다나카 마사히로 등판 날에는 “마군, 신의 아이, 이상한 아이”, “이상한 나라의 마군” 등의 말을 남겨, 스포츠 신문에는 “노무라 어록” 코너가 생겼다.
육성 방침은 기본적으로 때리며 늘리는 타입이었지만, 라쿠텐에서는 활약하거나 진보하는 선수에게는 격려나 칭찬을 하는 등 이전과 다른 면을 보였다(나이가 들면서 ‘성격이 둥글어졌다’는 의견이 많다). 다만, 아들 노무라 가쓰노리를 낮은 타율과 약한 어깨에도 계속 기용한 것에 대해서는 팬들 사이에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가쓰노리는 2006년 방출 통보를 받고 은퇴, 2군 육성 코치로 발탁되었다(이후 2008년 1군 배터리 코치). 2006년 시즌 후(11월) 열린 미·일 야구 일본 대표팀 감독을 맡았지만, 선수들의 출전 포기가 잇따르면서 고전, 역사상 처음으로 메이저 리그 선발팀에게 5전 전패를 당했다.
2006년 11월 23일, 라쿠텐 팬 감사제에서 노무라는 다음 시즌 성적과 관련, 자신의 거취에 대한 발언을 했다.
노무라의 발언에 라쿠텐 구단과 요네다 준 구단 대표는 곤혹스러워했다. 노무라 감독은 취임 초부터 ‘만드는 해, 싸우는 해, 이기는 해’라고 천명, 3년 간 팀을 만들겠다는 방침을 말했지만, 2007년은 3년 계약의 2년째이자 ‘싸우는 해’였다. 11월 26일 구단 납회식에서 시마다 도루 구단 사장은 발언 재고나 철회를 요구했지만, 노무라는 거부했다. 11월 28일 라쿠텐 경영자문위원회에서 미키타니 히로시 구단주와 도호쿠 지역 재계 관계자들은 A클래스 진입까지 사임하지 않기를 바라며 장기 감독직을 주장했다. 그러나 노무라는 “성적이 나쁘면 사직서를 제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내년 시즌에는 자신의 야구 생명을 걸겠다”라고 말하며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2009년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 단계에서 패배한 후 노무라는 74세의 나이로 감독에서 은퇴했다. 노무라는 감독으로서 NPB 역사상 5번째로 많은 1,565승을 기록했다.[7]
2007년 시즌, 신인을 포함한 젊은 선수들을 적극 기용했다. 투수진에서는 이치바 야스히로, 이와쿠마 히사시 등이 시즌 초반 이탈, 나가이 레이, 다나카 마사히로 등을 선발 로테이션에 기용했다. 포수는 육성을 겸해 루키 시마 기히로를 기용했다. 시즌 중반에는 와타나베 나오토, 쿠사노 다이스케 등이 두각을 나타냈다. 후반전 개시 직후 후쿠모리 카즈오가 이탈했지만 코야마 신이치로를 구원 에이스로 기용, 이치바와 이와쿠마가 1군 복귀하며 선발 로테이션을 재편, 야마무라 히로키, 아리메 켄큐, 나가이 등을 구원으로 전향시켰다. 야마자키 타케시가 38세에 홈런왕·타점왕 2관왕을 차지하는 맹활약으로 시즌 최종 성적은 4위, 창단 3년 만에 처음으로 최하위를 벗어났다. 2007년 10월 4일, 3년 계약 마지막 해인 2008년에도 감독을 계속할 것을 표명했다.
2008년 6월 29일 소프트뱅크전에서 구단 최다 20안타 맹공으로 15점을 뽑아 대승했다. 이날은 73세 생일로, 7년 만의 생일 승리였으며, 선수들이 준비한 모자 모양 케이크로 축하받았다. 7월 5일, 대 세이부전(세이부 돔)에서는 "라이온즈 클래식" 기획으로, 당시(1963년) 일본 기록인 노무라의 52홈런 달성 무대인 니시테쓰 라이온즈 대 난카이 호크스전을 재현하는 이벤트가 열렸다(경기에서는 토요다 야스미츠(전 니시테쓰)가 시구, 노무라가 포수를 맡았다).
같은 해 7월 15일, 니혼햄(도쿄 돔)전에서 감독 통산 3,000경기 출장을 달성, 선수로서도 통산 3,017경기 출장, 선수·감독 양쪽 3,0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초반에 구단 최초 단독 선두가 되었지만 교류전 후반부터 부진, 최종전에서 승리하며 최하위 탈출, 5위로 마감했다. 2007년과 달리 득실점차는 플러스였고, 에이스 이와쿠마 히사시가 21승을 거두며 부활하는 등 전력 정비는 진행되었지만, 순위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시즌을 끝으로 3년 계약이 종료, 거취가 주목되었지만, 구단은 전력 정비를 평가, 1년 계약 연장 요청을 했다. 노무라는 수락, 2009년에도 라쿠텐을 지휘하게 되었지만, 도밍고 구스만과 호세 페르난데스(나카무라 노리히로를 FA로 획득)가 퇴단했다.
야쿠르트 최종 해와 한신의 3년간, 라쿠텐 3년간 패배가 많아, 감독 통산 승률이 5할 아래였다(통산 1488승 1497패 76무).
2009년 시즌, 사토 요시노리를 다시 투수 코치로 초빙했다[172]。 개막부터 투수진 중심으로 부상자가 속출했다. 드래프트에서 획득한 신인 투수 전원이 오픈전 전에 부상, 카타야마 히로시나 아오야마 코지 등 기대주도 캠프에서 늦어졌고, 전년 활약한 신 수호신 가와기시 츠요시도 개막 후 바로 몸을 다치는 등, 투수는 취임 이래 재앙이었다. 타카스 요스케나 릭 쇼트 등도 부상으로 장기간 전선 이탈하는 등 부상자가 많았다. 스포츠 신문 해설자 순위 예상에서 라쿠텐은 일제히 하위 예상되었고, 노무라는 "하마평이 낮으니 편하다"라고 언급했다.
정규 시즌 개막, 팀 최초 개막 4연승으로 4월을 선두로 마감했다. 4월 29일에는 감독 통산 1500승을 달성, 4경기 연속 완투 승리한 다나카 마사히로로부터 위닝 볼을 받았다. 그러나, 부상자가 속출한 5월 이후 컨디션이 떨어져, 교류전에서는 최대 6연패, 7월에는 3년 만의 8연패, 5위까지 후퇴했지만, 8월에 최대 6연승 포함 통산 17승 7패. 9월 이후에도 호조를 유지, 9월 12일 소프트뱅크전(야후 돔)에서 팀 최초 클라이맥스 시리즈 (CS) 진출 매직 넘버 "19"가 점등. 2번 소멸하지만, 10월 3일 대 세이부전(K스타 미야기)에서 승리, 팀 최초 CS 진출이 결정되었다. 9일 오릭스전에서 2위 확정, CS 제1 스테이지 홈 개최권을 획득했다. 라쿠텐 구단 창설 후 첫 A클래스 진입, 노무라 자신도 야쿠르트에서 마지막 우승(1997년) 이후 8시즌 만이었다. 11승을 더 거두면서, 감독 통산 승률을 5할로 되돌렸다.
11일 K스타 미야기에서 열린 정규 시즌 최종전(소프트뱅크전) 종료 후, 구단은 계약을 갱신하지 않겠다고 통보, 시즌을 끝으로 퇴임이 결정되었다. 16일 CS 제1 스테이지 경기 전 미팅에서, 일본 제일이 되더라도 계약은 갱신하지 않겠다고 선수에게 알리고 눈물을 흘렸다. 미하라 오사무가 가진 감독 통산 최다 기록 3248경기에 44경기에 다가섰다.
16일 개막 CS 제1 스테이지, 소프트뱅크에 2연승, 제2 스테이지 진출을 결정했지만, 21일 개막 제2 스테이지, 니혼햄에 1승 4패, 일본 시리즈 진출은 실패했다. 니혼햄 CS 우승 세레모니 후, 라쿠텐과 니혼햄 양군 선수·코치에게 헹가래를 받았다. 니혼햄에 패배한 10월 24일이 노무라의 현역, 감독 마지막 날이었다. 11월 2일, 라쿠텐 신임 감독으로 히로시마 전 감독 마티 브라운 취임 발표, 거부 자세를 보였던 명예 감독 취임 요청을 수락했다. 이 해를 마지막으로 현장에서 완전히 은퇴했다.
퇴임 결정 시 "인생에 지쳤다. 해고라고 들으니, 확 피로가 몰려왔다"라고 말했다. "유니폼 차림도 드디어 초읽기지만, 역시 나는 '전 난카이'가 좋다"라고도 말했다.
4. 상세 정보
노무라 가쓰야는 일본 야구 기구(NPB)에서 전후 처음이자 역대 2번째로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선수이다. 이는 세계 프로 야구 사상 최초의 포수 트리플 크라운이었다. 26년 동안 홈런왕 9회, 타점왕 7회, 최우수 선수 5회를 기록했는데, 이는 역대 2위이자 퍼시픽 리그 최다 기록이다(역대 1위는 모두 오 사다하루이다).[21]
NPB 최다 기록으로는 통산 타석 수, 통산 타수, 통산 희생 플라이 수, 통산 병살타 수, 베스트 나인 19회가 있다. 올스타전 21회 출전 또한 역대 최다 기록이다. 역대 2위 기록으로는 출전 경기 수(1위는 타니시게 모토노부), 통산 안타 수(1위는 장훈), 통산 홈런 수(1위는 오 사다하루), 통산 타점 수(1위는 오 사다하루), 통산 루타 수(1위는 오 사다하루)가 있다. 포수를 맡으면서 통산 RCWIN 역대 5위를 기록했다.
1965년, 노무라는 리그 최초로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1970년부터 1977년까지는 난카이 호크스에서 선수 겸 감독을 맡았다.[5] 26년간 선수로 활약했는데, 이는 2008년 구도 기미야스가 27번째 시즌에 등판하기 전까지 NPB 최장 기간 선수 생활 기록이었다.[6]
선수 은퇴 후에는 야구 평론가로 활동하며 TV 중계에서 타자 심리를 해설하는 노무라 스코프가 화제를 모았다.
1990년부터 1998년까지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을 맡아 시즌 우승 4회, 일본 시리즈 우승 3회를 기록했다. 이듬해 1999년부터 3년간 한신 타이거스 감독을 맡았다. 사회인 야구의 시다스 감독을 거쳐,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감독을 맡았다.
프로 야구 감독으로서 3204경기(역대 2위) 1565승(역대 5위) 1563패(역대 최다)를 기록했다.[22] 그 중 "헤이세이"(1989년 1월 8일 ~ 2019년 4월 30일) 기간의 승리 수 1053승은 같은 시대의 최다 기록이다.[23] 시즌 우승 5회는 역대 9위, 일본 시리즈 우승 3회는 역대 6위이다.
감독 퇴임 후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명예 감독[24][25]을 지냈다. 2010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산케이 스포츠 야구 평론가로 활동했다. 니혼 체육 대학 객원 교수도 역임했다.
애칭은 '''노무'''(노무상) 또는 "'''무스'''"였다. 혈액형은 B형이다. "무스"는 로키 산맥에 서식하는 "말코손바닥사슴"을 가리키며, 미일 야구에서 방일한 윌리 메이스가 붙인 별명이다.[26] 또한 "'''일본판 베이브'''"라고 불리기도 했다.[27][28]
생애 두 번 결혼했으며, 두 번째 배우자는 노무라 사치요(2017년 사별)이다. 사치요와의 사이에 아들 노무라 가쓰노리가 있다. 전처와의 사이에도 아들이 한 명 있다. 의붓자식(사치요의 데려온 자식)으로 단 노무라, 케니 노무라가 있다.
생전에 자서전에서 "무엇보다 자신은 일하는 인간"이라고 술회했듯이, 어린 시절부터 사망 직전까지 야구 관련 일을 계속했다. 오프나 휴일에도 강연, TV 출연, 집필 활동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일을 했다.
만년에는 단 노무라가 운영하는 KDN 스포츠 재팬이 매니지먼트 대행을 맡았다.
2010년, 산케이 스포츠 야구 평론가로 복귀, 텔레비전과 라디오에서 프리 야구 해설가로 출연했다.
2010년 1월 24일, 자민당 당 대회에서 강연을 했다. "질 때는 질 수밖에 없다. 만회를 위해 노력하라"며 자민당의 정권 탈환을 위해 질책 격려하고,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패배 요인을 분석하며 "지면 반성하지만 이기면 반성하지 않는다. 거기에 함정이 있었다"고 말했다. 고이즈미 신지로에 대해서는 "정말 훌륭하다"고 말했다.[179]
S☆1에서 함께 출연했던 마스다 에리나는 "노무라 씨의 해설은 정말 알기 쉽고, 하나하나의 플레이를 매우 정중하게 가르쳐줍니다."라고 말했다.[180] 2011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2차전, 5차전을 TV 도쿄 계열에서, 7차전을 TBS 계열에서 게스트 해설을 담당했다.
2012년 12월 29일, 계약 만료로 라쿠텐 명예 감독을 퇴임했다.[181] 2020년 현재까지 프로야구계에서 명예 감독 칭호를 받은 것은 노무라와 나가시마 시게오(요미우리 종신 명예 감독)뿐이다.
2013년 4월, 일본체육대학 아동 스포츠 교육학부 객원 교수로 취임하여[182][183] 대학에서 강연 등을 했다.
노무라는 감독 재임 중인 1990년부터 고향인 교토탄고시에 기념품을 기증해 왔다. 아미티 단고(단고 지역 지바 산업 진흥 센터)에 "노무라 가쓰야 베이스볼 갤러리"가 개설되어 노무라의 기증품을 중심으로 전시하고 있다.
2017년 12월 8일, 아내 사치요가 급사했다.[186]
2019년, 야쿠르트 구단 50주년[187]을 기념하여 열린 OB 대항전 "스왈로즈 드림 게임"에 1990년대 자신이 감독으로서 이끌었던 선수들로 구성된 "GOLDEN 90's"의 감독으로 출전했다.[188]
2020년에도 야쿠르트와 시닥스 야구부 OB회에 참석했다. 1월 25일에 열린 시닥스 야구부 OB회에 참석하여 "사랑이 없으면 사람은 성장하지 않는다"고 연설한 것이 공적인 자리에서의 노무라의 마지막 모습이 되었다.[191]
4. 1. 수상·타이틀 경력
타이틀 | 횟수 | 연도 |
---|---|---|
수위 타자 | 1회 | 1965년 |
홈런왕 | 9회 | 1957년, 1961년 ~ 1968년 |
타점왕 | 7회 | 1962년 ~ 1967년, 1972년 |
최다 안타(당시는 타이틀이 아님) | 1회 | 1965년 ※1994년부터 타이틀로 제정됨 |
colspan="3" | | ||
상 | 횟수 | 연도 |
MVP | 5회 | 1961년, 1963년, 1965년, 1966년, 1973년 |
베스트 나인 | 19회 | 1956년 ~ 1968년, 1970년 ~ 1973년, 1975년, 1976년 ※통산 19회 수상은 사상 최다 수상 기록 |
다이아몬드 글러브상 | 1회 | 1973년 |
일본 시리즈 감투상 | 1회 | 1973년 |
올스타전 MVP | 2회 | 1972년 1차전, 1977년 2차전 |
쇼리키 마쓰타로상 | 1회 | 1993년 |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 1989년 |
퍼시픽 리그 특별 수상 | 4회 | 1963년, 1975년, 1979년, 1980년[313] |
마이니치 스포츠인상 팬상 | - | 2009년 |
베스트 파더 옐로 리본상 in ‘프로 야구 부문’ | - | 2009년 |
- 9차례 홈런왕 획득, 8년 연속 홈런왕은 모두 퍼시픽 리그 기록이다.[300]
- 7차례 타점왕 획득, 6년 연속 타점왕은 모두 퍼시픽 리그 기록이다.[301]
- 1965년에는 전후 처음으로 타격 부문 3관왕을 달성했다.[301]
4. 2. 주요 기록
wiki기록 종류 | 기록 내용 | 비고 |
---|---|---|
현역 통산 | 26년 (1954년, 1956년 ~ 1980년) | 퍼시픽 리그 기록, 역대 2위[314] |
연속 시즌 두 자릿수 홈런 | 21년 (1957년 ~ 1977년) | 역대 1위 타이 |
연속 시즌 40홈런 이상 | 4년 (1962년 ~ 1965년) | 역대 3위 타이 |
연속 시즌 30홈런 이상 | 7년 (1962년 ~ 1968년) | 역대 4위 타이 |
연속 시즌 20홈런 이상 | 17년 (1957년 ~ 1973년) | 역대 2위 |
연속 시즌 100타점 이상 | 4년 (1962년 ~ 1965년) | 역대 4위 타이 |
시즌 40홈런 이상 | 5회 (1962년 ~ 1965년, 1970년) | 역대 3위 타이 |
시즌 30홈런 이상 | 10회 (1957년, 1962년 ~ 1968년, 1970년, 1972년) | 역대 2위 |
시즌 20홈런 이상 | 18회 (1957년 ~ 1973년, 1975년) | 역대 2위 |
시즌 홈런 | 52개 (1963년) | 역대 5위 타이 |
시즌 100타점 이상 | 7회 (1962년 ~ 1965년, 1967년, 1970년, 1972년) | 역대 2위 |
시즌 100안타 이상 | 18회 (1957년 ~ 1968년, 1970년 ~ 1973년, 1975년, 1976년) | 역대 3위 타이 |
5경기 연속 홈런 | 1970년 7월 15일 ~ 7월 26일 | |
1경기 만루 홈런과 끝내기 홈런 | 1968년 10월 3일 | 역대 2번째 |
역전 만루 끝내기 홈런 | 1966년 5월 14일 | 역대 7번째 |
통산 맹타상 | 180회 | 역대 4위 |
통산 만루 홈런 | 12개 | 역대 6위 타이, 일본인 1위 타이 |
통산 끝내기 홈런 | 11개 | 퍼시픽 리그 기록 |
통산 끝내기 안타 | 19개 | 퍼시픽 리그 기록 |
통산 홈런 | 657개 | [314] |
올스타전 출장 | 21회 (1957년 ~ 1968년, 1970년 ~ 1977년, 1980년) | [315] |
올스타전 통산 안타 | 48개 | 역대 1위 |
올스타전 통산 2루타 | 15개 | 역대 1위 |
통산 3,000경기 출장 | 1980년 8월 1일 | 첫 번째 |
NPB 전후 첫(역대 2번째)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세계 프로 야구 사상 최초의 포수 트리플 크라운). 실 활동 26년 동안 홈런왕 9회, 타점왕 7회, 최우수 선수 5회는 역대 2위이자 퍼시픽 리그 최다 기록(역대 1위는 모두 오 사다하루).[21] NPB 최다 기록으로는 통산 타석 수, 통산 타수, 통산 희생 플라이 수, 통산 병살타 수, 베스트 나인 19회가 있다. 올스타전 21회 출전 또한 역대 최다. 역대 2위 기록은 출전 경기 수(1위는 타니시게 모토노부), 통산 안타 수(1위는 장훈), 통산 홈런 수(1위는 오 사다하루), 통산 타점 수(1위는 오 사다하루), 통산 루타 수(1위는 오 사다하루). 포수를 맡으면서 통산 RCWIN 역대 5위를 기록했다.
1965년 노무라는 리그 최초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1970년부터 1977년까지 선수 겸 감독을 맡았다.[5] 26년간 선수로 활약했는데, 2008년 구도 기미야스가 27번째 시즌에 등판하기 전까지 NPB 최장 기간 선수 생활 기록이었다.[6]
4. 3. 등번호
- '''60'''(1954년 ~ 1955년)
- '''19'''(1956년 ~ 1980년, 2006년 ~ 2009년)
- '''73'''(1990년 ~ 1998년, 2001년)
- '''82'''(1999년 ~ 2000년)
5. 감독으로서의 팀 성적
노무라 가쓰야는 1970년 선수 겸 감독으로 난카이 호크스에서 감독 경력을 시작하여, 1977년까지 팀을 이끌며 1973년 퍼시픽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7] 1990년부터 1998년까지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을 맡아 4번의 리그 우승과 3번의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7]
1995년에는 이시이 가즈히사 등의 투수와 이나바 아쓰노리를 비롯한 야수들의 활약으로 2년 만에 센트럴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이치로가 이끄는 오릭스 블루웨이브를 상대로 4승 1패를 기록하며 야쿠르트 감독으로서 통산 두 번째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305]
1997년에도 고바야카와 다케히코의 개막전 3홈런 활약 등에 힘입어 2위 요코하마와의 11경기 차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세이부를 꺾고 통산 세 번째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이후 1998년에는 4위로 시즌을 마감한 뒤 감독직에서 물러났고, 야쿠르트 구단은 노무라 가쓰야를 '역대 최고의 명장'으로 평가했다.
1999년에는 한신 타이거스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팀 재건을 맡았다. 취임 당시에는 '노무라 TOP 야구'[306]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6월 9일에는 단독 선두로 올라서는 등 기대감을 높였다.
그러나 1999년과 2000년에는 주전 선수들의 부진으로 2년 연속 최하위에 머물렀다. 2001년에도 아카호시 노리히로 등 젊은 선수들을 적극적으로 기용했지만 최하위에 그쳤고, 시즌 종료 후 아내 노무라 사치요의 탈세 혐의로 인해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2005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5년 만에 프로 야구계에 복귀했다. 2009년에는 팀을 창단 첫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리그 2위)로 이끌었으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에게 패하며 일본 시리즈 진출에는 실패했다. 시즌 종료 후 라쿠텐 감독직에서 물러나면서 24년간의 프로팀 감독 생활을 마감했다.
정규 시즌과 포스트 시즌 기록은 다음과 같다.
'''정규 시즌'''
연도 | 소속 | 순위 | 경기 | 승리 | 패전 | 무승부 | 승률 | 승차 | 팀 타율 | 팀 홈런 | 팀 평균자책점 | 연령 |
---|---|---|---|---|---|---|---|---|---|---|---|---|
1970년 | 난카이 | 2위 | 130 | 69 | 57 | 4 | .548 | 10.5 | .255 | 147 | 3.43 | 35세 |
1971년 | 4위 | 130 | 61 | 65 | 4 | .484 | 22.5 | .260 | 156 | 4.27 | 36세 | |
1972년 | 3위 | 130 | 65 | 61 | 4 | .516 | 14.0 | .253 | 133 | 3.48 | 37세 | |
1973년 | 1위 | 130 | 68 | 58 | 4 | .540 | - | .260 | 113 | 3.35 | 38세 | |
1974년 | 3위 | 130 | 59 | 55 | 16 | .518 | - | .246 | 124 | 3.06 | 39세 | |
1975년 | 5위 | 130 | 57 | 65 | 8 | .467 | - | .246 | 102 | 2.98 | 40세 | |
1976년 | 2위 | 130 | 71 | 56 | 3 | .559 | - | .259 | 97 | 2.91 | 41세 | |
1977년 | 2위 | 130 | 63 | 55 | 12 | .534 | - | .250 | 108 | 3.15 | 42세 | |
1990년 | 야쿠르트 | 5위 | 130 | 58 | 72 | 0 | .446 | 30.0 | .257 | 123 | 4.24 | 55세 |
1991년 | 3위 | 132 | 67 | 63 | 2 | .515 | 7.0 | .259 | 140 | 3.93 | 56세 | |
1992년 | 1위 | 131 | 69 | 61 | 1 | .531 | (2.0) | .261 | 173 | 3.79 | 57세 | |
1993년 | 1위 | 132 | 80 | 50 | 2 | .615 | (7.0) | .263 | 140 | 3.20 | 58세 | |
1994년 | 4위 | 130 | 62 | 68 | 0 | .477 | 8.0 | .250 | 130 | 4.05 | 59세 | |
1995년 | 1위 | 130 | 82 | 48 | 0 | .631 | (8.0) | .261 | 147 | 3.60 | 60세 | |
1996년 | 4위 | 130 | 61 | 69 | 0 | .469 | 16.0 | .264 | 103 | 4.00 | 61세 | |
1997년 | 1위 | 137 | 83 | 52 | 2 | .615 | (11.0) | .276 | 138 | 3.26 | 62세 | |
1998년 | 4위 | 135 | 66 | 69 | 0 | .489 | 13.0 | .253 | 97 | 3.69 | 63세 | |
1999년 | 한신 | 6위 | 135 | 55 | 80 | 0 | .407 | 26.0 | .259 | 97 | 4.04 | 64세 |
2000년 | 6위 | 136 | 57 | 78 | 1 | .422 | 21.0 | .244 | 114 | 3.90 | 65세 | |
2001년 | 6위 | 140 | 57 | 80 | 3 | .416 | 20.5 | .243 | 90 | 3.75 | 66세 | |
2006년 | 라쿠텐 | 6위 | 136 | 47 | 85 | 4 | .356 | 33.0 | .258 | 67 | 4.30 | 71세 |
2007년 | 4위 | 144 | 67 | 75 | 2 | .472 | 13.5 | .262 | 111 | 4.31 | 72세 | |
2008년 | 5위 | 144 | 65 | 76 | 3 | .461 | 11.5 | .272 | 94 | 3.89 | 73세 | |
2009년 | 2위 | 144 | 77 | 66 | 1 | .538 | 5.5 | .267 | 108 | 4.01 | 74세 | |
통산: 24년 | 3204 | 1565 | 1563 | 76 | .5003 | A클래스: 12회, B클래스: 12회 |
- 순위에서 '''굵은 글씨'''는 일본 시리즈 우승.
# 1970년부터 1996년까지는 130경기제
# 1997년부터 2000년까지는 135경기제
# 2001년부터 2004년까지는 140경기제
# 2005년부터는 136경기제
# 2007년부터는 144경기제
# 통산 성적은 1977년 시즌 해임 후의 2경기를 포함하지 않음.
'''포스트 시즌'''
연도 | 소속 | 경기명 | 상대팀 | 성적 |
---|---|---|---|---|
1973년 | 난카이 |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 | 한큐 브레이브스(퍼시픽 리그 후기 우승) | 3승 2패 |
일본 시리즈 | 요미우리 자이언츠 | 1승 4패 | ||
1992년 | 야쿠르트 | 일본 시리즈 | 세이부 라이온스 | 3승 4패 |
1993년 | 일본 시리즈 | 세이부 라이온스 | 4승 3패 | |
1995년 | 일본 시리즈 | 오릭스 블루웨이브 | 4승 1패 | |
1997년 | 일본 시리즈 | 세이부 라이온스 | 4승 1패 | |
2009년 | 라쿠텐 |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1스테이지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퍼시픽 리그 3위) | 2승 0패 |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2스테이지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퍼시픽 리그 우승) | 1승 4패 |
# 성적에서 '''굵은 글씨'''는 승리한 것을 나타냄.
# 1973년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는 5경기제이며 먼저 3승을 한 팀이 리그 우승을 차지했음.
# 2009년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는 3경기제이며 먼저 2승을 한 팀은 파이널 스테이지에 진출, 파이널 스테이지의 경우 6경기제이며 먼저 4승을 한 팀은 우승, 리그 우승 팀에게는 어드벤티지 1승이 주어졌다.
# 2009년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4패 중 닛폰햄에게 줄 수 있었던 어드벤티지를 포함.
5. 1. 정규 시즌
연도 | 소속 | 순위 | 경기 | 승리 | 패전 | 무승부 | 승률 | 승차 | 팀 타율 | 팀 홈런 | 팀 평균자책점 | 연령 |
---|---|---|---|---|---|---|---|---|---|---|---|---|
1970년 | 난카이 | 2위 | 130 | 69 | 57 | 4 | .548 | 10.5 | .255 | 147 | 3.43 | 35세 |
1971년 | 4위 | 130 | 61 | 65 | 4 | .484 | 22.5 | .260 | 156 | 4.27 | 36세 | |
1972년 | 3위 | 130 | 65 | 61 | 4 | .516 | 14.0 | .253 | 133 | 3.48 | 37세 | |
1973년 | 1위 | 130 | 68 | 58 | 4 | .540 | - | .260 | 113 | 3.35 | 38세 | |
1974년 | 3위 | 130 | 59 | 55 | 16 | .518 | - | .246 | 124 | 3.06 | 39세 | |
1975년 | 5위 | 130 | 57 | 65 | 8 | .467 | - | .246 | 102 | 2.98 | 40세 | |
1976년 | 2위 | 130 | 71 | 56 | 3 | .559 | - | .259 | 97 | 2.91 | 41세 | |
1977년 | 2위 | 130 | 63 | 55 | 12 | .534 | - | .250 | 108 | 3.15 | 42세 | |
1990년 | 야쿠르트 | 5위 | 130 | 58 | 72 | 0 | .446 | 30.0 | .257 | 123 | 4.24 | 55세 |
1991년 | 3위 | 132 | 67 | 63 | 2 | .515 | 7.0 | .259 | 140 | 3.93 | 56세 | |
1992년 | 1위 | 131 | 69 | 61 | 1 | .531 | (2.0) | .261 | 173 | 3.79 | 57세 | |
1993년 | 1위 | 132 | 80 | 50 | 2 | .615 | (7.0) | .263 | 140 | 3.20 | 58세 | |
1994년 | 4위 | 130 | 62 | 68 | 0 | .477 | 8.0 | .250 | 130 | 4.05 | 59세 | |
1995년 | 1위 | 130 | 82 | 48 | 0 | .631 | (8.0) | .261 | 147 | 3.60 | 60세 | |
1996년 | 4위 | 130 | 61 | 69 | 0 | .469 | 16.0 | .264 | 103 | 4.00 | 61세 | |
1997년 | 1위 | 137 | 83 | 52 | 2 | .615 | (11.0) | .276 | 138 | 3.26 | 62세 | |
1998년 | 4위 | 135 | 66 | 69 | 0 | .489 | 13.0 | .253 | 97 | 3.69 | 63세 | |
1999년 | 한신 | 6위 | 135 | 55 | 80 | 0 | .407 | 26.0 | .259 | 97 | 4.04 | 64세 |
2000년 | 6위 | 136 | 57 | 78 | 1 | .422 | 21.0 | .244 | 114 | 3.90 | 65세 | |
2001년 | 6위 | 140 | 57 | 80 | 3 | .416 | 20.5 | .243 | 90 | 3.75 | 66세 | |
2006년 | 라쿠텐 | 6위 | 136 | 47 | 85 | 4 | .356 | 33.0 | .258 | 67 | 4.30 | 71세 |
2007년 | 4위 | 144 | 67 | 75 | 2 | .472 | 13.5 | .262 | 111 | 4.31 | 72세 | |
2008년 | 5위 | 144 | 65 | 76 | 3 | .461 | 11.5 | .272 | 94 | 3.89 | 73세 | |
2009년 | 2위 | 144 | 77 | 66 | 1 | .538 | 5.5 | .267 | 108 | 4.01 | 74세 | |
통산: 24년 | 3204 | 1565 | 1563 | 76 | .5003 | A클래스: 12회, B클래스: 12회 |
- 순위에서 '''굵은 글씨'''는 일본 시리즈 우승.
# 1970년부터 1996년까지는 130경기제
# 1997년부터 2000년까지는 135경기제
# 2001년부터 2004년까지는 140경기제
# 2005년부터는 136경기제
# 2007년부터는 144경기제
# 통산 성적은 1977년 시즌 해임 후의 2경기를 포함하지 않음.
노무라 가쓰야는 1970년 선수 겸 감독으로 난카이 호크스에서 감독 경력을 시작하여, 1977년까지 팀을 이끌며 1973년 퍼시픽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7] 1990년부터 1998년까지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을 맡아 4번의 리그 우승과 3번의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7]
1995년에는 투수 이시이 가즈히사, 야마베 후토시, 다카쓰, 야수 후루타 아쓰야, 도바시 가쓰유키, 이케야마, 이이다, 신인 외야수 이나바 아쓰노리, 새로 입단한 외국인 선수 투수 테리 브로스, 한신에서 자유 계약 선수로 온 1루수 토머스 오말리, 지바 롯데 마린스에서 활약했던 3루수 헨슬리 뮬렌, 긴테쓰에서 트레이드로 입단한 요시이 마사토 투수 등 이적 선수들이 활약하여, 2년 만에 센트럴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오릭스 블루웨이브를 상대로 4승 1패를 기록하여 야쿠르트 감독으로서 통산 두 번째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1996년에는 주력 선수들의 부진과 투수진 붕괴로 4위에 그쳤다.
1997년에는 고바야카와 다케히코가 개막전에서 3개의 홈런을 기록하는 등 팀은 연승을 이어갔고, 8월에는 요코하마와의 치열한 선두 경쟁 끝에 2위 요코하마와의 11경기 차로 리그 우승을 제패했다. 일본 시리즈에서도 세이부를 꺾고 통산 세 번째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1998년에는 4위로 시즌을 마감하며 용퇴를 선언했고, 야쿠르트 구단으로부터 ‘역대 최고의 명장’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1999년부터 2001년까지 한신 타이거스 감독을 맡았으나, 3년 연속 센트럴 리그 최하위를 기록했다.[9] 2001년 시즌 종료 후, 아내 노무라 사치요의 탈세 혐의로 인해 사임했다.[10]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감독을 맡아, 2009년 팀을 역대 최고 성적인 2위로 이끌며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진출시켰다. 2009년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 단계에서 패배한 후, 74세의 나이로 감독에서 은퇴했다.[7]
5. 2. 포스트 시즌
1995년에는 이시이 가즈히사 등의 투수와 이나바 아쓰노리를 비롯한 야수들의 활약으로 2년 만에 센트럴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이치로가 이끄는 오릭스 블루웨이브를 상대로 4승 1패를 기록하며 야쿠르트 감독으로서 통산 두 번째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305]1997년에도 고바야카와 다케히코의 개막전 3홈런 활약 등에 힘입어 2위 요코하마와의 11경기 차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세이부를 꺾고 통산 세 번째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이후 1998년에는 4위로 시즌을 마감한 뒤 감독직에서 물러났고, 야쿠르트 구단은 노무라 가쓰야를 '역대 최고의 명장'으로 평가했다.
1999년에는 한신 타이거스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팀 재건을 맡았다. 취임 당시에는 '노무라 TOP 야구'[306]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6월 9일에는 단독 선두로 올라서는 등 기대감을 높였다.
그러나 1999년과 2000년에는 주전 선수들의 부진으로 2년 연속 최하위에 머물렀다. 2001년에도 아카호시 노리히로 등 젊은 선수들을 적극적으로 기용했지만 최하위에 그쳤고, 시즌 종료 후 아내 노무라 사치요의 탈세 혐의로 인해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2005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5년 만에 프로 야구계에 복귀했다. 2009년에는 팀을 창단 첫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리그 2위)로 이끌었으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에게 패하며 일본 시리즈 진출에는 실패했다. 시즌 종료 후 라쿠텐 감독직에서 물러나면서 24년간의 프로팀 감독 생활을 마감했다.
연도 | 소속 | 경기명 | 상대팀 | 성적 |
---|---|---|---|---|
1973년 | 난카이 |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 | 한큐 브레이브스(퍼시픽 리그 후기 우승) | 3승 2패 |
일본 시리즈 | 요미우리 자이언츠 | 1승 4패 | ||
1992년 | 야쿠르트 | 일본 시리즈 | 세이부 라이온스 | 3승 4패 |
1993년 | 일본 시리즈 | 세이부 라이온스 | 4승 3패 | |
1995년 | 일본 시리즈 | 오릭스 블루웨이브 | 4승 1패 | |
1997년 | 일본 시리즈 | 세이부 라이온스 | 4승 1패 | |
2009년 | 라쿠텐 |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1스테이지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퍼시픽 리그 3위) | 2승 0패 |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2스테이지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퍼시픽 리그 우승) | 1승 4패 |
# 성적에서 '''굵은 글씨'''는 승리한 것을 나타냄.
# 1973년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는 5경기제이며 먼저 3승을 한 팀이 리그 우승을 차지했음.
# 2009년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는 3경기제이며 먼저 2승을 한 팀은 파이널 스테이지에 진출, 파이널 스테이지의 경우 6경기제이며 먼저 4승을 한 팀은 우승, 리그 우승 팀에게는 어드벤티지 1승이 주어졌다.
# 2009년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4패 중 닛폰햄에게 줄 수 있었던 어드벤티지를 포함.
참조
[1]
웹사이트
Philosophical skipper Katsuya Nomura always was one of a kind
http://www.asahi.com[...]
The Asahi Shimbun Company
2020-02-12
[2]
웹사이트
Baseball legend Nomura dies at 84
https://the-japan-ne[...]
Yomiuri Shimbun
2020-02-11
[3]
웹사이트
Katsuya Nomura
https://baseballbiog[...]
[4]
웹사이트
Undergoing Renovation – Japanese Baseball
http://japanesebaseb[...]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japanball[...]
[6]
웹사이트
Undergoing Renovation – Japanese Baseball
http://www.japaneseb[...]
[7]
웹사이트
Baseball legend Katsuya Nomura dies at 84
https://www.japantim[...]
2020-02-11
[8]
웹사이트
Former catcher Furuta voted into Japanese Baseball Hall of Fame
https://www.japantim[...]
2015-01-23
[9]
웹사이트
Nomura inks contract with Eagles
https://www.japantim[...]
2005-11-02
[10]
웹사이트
Sachiyo Nomura arrested in tax probe
https://www.japantim[...]
2001-12-06
[11]
웹사이트
Sachiyo Nomura indicted over tax evasion
https://www.japantim[...]
2001-12-27
[12]
웹사이트
It's now or never for new Giants catcher
https://www.japantim[...]
2004-02-04
[13]
웹사이트
パ・リーグ歴代MVP
https://www.sanspo.c[...]
Sankei Shimbun
[14]
웹사이트
NOMURA, Katsuya
http://english.baseb[...]
Japanese Baseball Hall of Fame
[15]
웹사이트
殿堂レリーフ「捕手かぶり」の矜持 野村克也さん一周忌
https://www.sankei.c[...]
2021-02-11
[16]
간행물
野村監督 長男の独占手記
Shūkan Bunshun
1999-06-03
[17]
웹사이트
The woman who toppled the toughest catcher of all time
http://search.japant[...]
2001-12-12
[18]
뉴스
Sachiyo Nomura, entertainer and wife of ex-pro baseball manager, dies at 85
https://mainichi.jp/[...]
2017-12-09
[19]
웹사이트
野村氏の息子・克則氏は涙 「急すぎて受け入れられない」 死因は妻と同じ「虚血性心不全」
https://www.daily.co[...]
2020-02-11
[20]
웹사이트
野村克也さん死去、84歳 プロ野球・阪神などで監督、京丹後市網野町出身
https://www.kyoto-np[...]
京都新聞
2020-02-11
[21]
웹사이트
歴代最高記録
https://npb.jp/bis/h[...]
日本野球機構
[22]
웹사이트
野村克也さんしのび、全員73番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21-03-28
[23]
간행물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
2020-06
[24]
웹사이트
楽天・野村克也名誉監督
https://npn.co.jp/ar[...]
2010-03-28
[25]
웹사이트
野村氏が楽天名誉監督退任
https://web.archive.[...]
2012-12-30
[26]
웹사이트
三冠王の名捕手、名監督 野村克也さん【スポーツ鎮魂歌】
https://www.jiji.com[...]
2020-02-11
[27]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週刊ベースボール
1965-09-20
[28]
서적
南海ホークス ナンバ栄光と哀しみの故郷
[29]
서적
佐濃村誌
[30]
서적
運鈍根
[31]
서적
運鈍根
[32]
웹사이트
野村克也さん、球界入り「きっかけは新聞」 本紙創刊80周年で語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0-02-11
[33]
서적
運鈍根
[34]
웹사이트
野村克也さん「死ぬまで働く。生活の安定は自ら確保」 80歳を過ぎて妻に先立たれたら(下)
https://www.nikkei.c[...]
2018-09-18
[35]
서적
ホームラン・350本
[36]
뉴스
(제목 없음)
https://www.sanspo.c[...]
SANSPO.COM
2020-02-12
[37]
서적
홈런・350本
[38]
뉴스
노무라 씨, 고교 시절 성적은 고시엔을 목표로 한 발자취, 교토 신문 지면에
https://www.kyoto-np[...]
京都新聞
2020-02-11
[39]
서적
홈런・350本
[40]
뉴스
감독 鶴오카 히토시 편 제3회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1-01-07
[41]
서적
홈런・350本
[42]
서적
거인군론
[43]
웹사이트
젊은 시절 흘리지 않은 땀은 늙어서 눈물이 된다. 모든 "현역"에게 전하고 싶은 노무라 가쓰야 감독의 말
https://president.jp[...]
[44]
웹사이트
추도·노무라 가쓰야, "달맞이꽃"의 공적을 감사와 함께 돌아본다
https://spread-sport[...]
[45]
웹사이트
약한 남자
https://ji-sedai.jp/[...]
[46]
서적
운둔근
[47]
서적
홈런・350本
[48]
서적
거인군의 거인 마바 정평
[49]
서적
홈런・350本
[50]
서적
운둔근
[51]
서적
읽는 야구 No.3 노무라 가쓰야를 읽는다
주부의 친구사
2014
[52]
서적
운둔근
[53]
간행물
베이스볼 매거진
1960-04
[54]
간행물
주간 베이스볼
1963-12-16
[55]
서적
나의 이력서
일본경제신문출판사
[56]
서적
놈다스 승자의 자격
[57]
서적
난카이 호크스 40년사
[58]
서적
난카이 호크스 난바 영광과 슬픔의 고향
[59]
서적
운둔근
[60]
간행물
주간 베이스볼
1965-05-31
[61]
서적
운둔근
[62]
간행물
주간 베이스볼
1965-09-20
[63]
서적
운둔근
[64]
서적
운둔근
[65]
뉴스
쇼와 39년 이야기 (25) 진창 "호크스" ... 츠루오카 난카이 3가지 오산
https://www.sankei.c[...]
산케이 WEST-Count
2018-12-26
[66]
간행물
주간 베이스볼
1964-12-21
[67]
뉴스
(제목 없음)
일본경제신문
1987-10-09
[68]
간행물
주간 베이스볼
1965-02-01
[69]
뉴스
전후 최초의 3관왕은 1965년의 노무라 가쓰야 전년은 홈런 & 타점의 2관왕이지만 "감봉"이 자극이 되어
https://full-count.j[...]
Full-Count
2020-02-23
[70]
웹사이트
야마다, 사상 최초 "4관"의 길 전 3관왕·노무라 가쓰야 씨는 프로야구
http://digital.asahi[...]
2016-07-15
[71]
서적
運鈍根
자서
[72]
잡지
週刊ベースボール
週刊ベースボール
1965-12-08
[73]
서적
運鈍根
자서
[74]
서적
運鈍根
자서
[75]
서적
HAWKS the 70th―ホークス栄光の軌跡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8
[76]
서적
甲子園への遺言―伝説の打撃コーチ高畠導宏の生涯
講談社
2005-06
[77]
서적
甲子園への遺言 伝説の打撃コーチ高畠導宏の生涯
[78]
뉴스
【データ】西武中村剛也1913試合目で日本記録1955三振 三振>試合数はブライアントと2人だけ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79]
잡지
週刊ベースボール
週刊ベースボール
1969-10-20
[80]
잡지
週刊ベースボール
週刊ベースボール
1969-11-10
[81]
잡지
週刊ベースボール
週刊ベースボール
1969-11-10
[82]
서적
[完全保存版] 草創期から支え続けた147人の監督列伝 日本プロ野球昭和の名将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2
[83]
서적
南海ホークスがあったころ
[84]
잡지
週刊プロ野球データファイル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2
[85]
서적
南海ホークス ナンバ栄光と哀しみの故郷
[86]
서적
ホークス75年史 永久保存版: 南海、ダイエー、ソフトバンク-継承される栄光の歴史 1938-2013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87]
웹사이트
各種記録達成者一覧 2000安打
https://npb.jp/histo[...]
[88]
웹사이트
意外と俊足、トリプルスチールも!
https://number.bunsh[...]
[89]
서적
南海ホークス栄光の歴史―1938-1988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2
[90]
뉴스
新井宏昌の我が道⑫、ノムさんの一声で南海2位指名
スポーツニッポン
2024-03-12
[91]
뉴스
【清水満のSPORTSマインド】“野村色”に染まる巨人+(1/2ページ)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2-02-14
[92]
뉴스
野村色に染まる巨人
https://web.archive.[...]
iza(産経新聞)
2012-02-14
[93]
잡지
1ページで分かった気になるプロ野球 002 - 偉大なる月見草・野村克也の人生 - 圧倒的な才覚で野球と向き合った波乱の54年
株式会社スクワッド
2008-12-03
[94]
서적
野球バカは死なず
文藝春秋
2018
[95]
뉴스
新井宏昌の我が道⑭、野村監督解任で恩返しできず
スポーツニッポン
2024-03-15
[96]
웹사이트
73歳の江夏豊が語る“刀根山マンション籠城事件”の真相「野村が解任される理由はなかった」
https://nikkan-spa.j[...]
[97]
뉴스
他球団に移りプレーしたい 解任の野村
毎日新聞
1977-10-06
[98]
뉴스
野村よ鶴岡氏に謝れ 南海訓告
日刊スポーツ
1977-10-07
[99]
뉴스
ノムさんとは和解 南海騒動一件落着
サンケイスポーツ
1977-10-15
[100]
웹사이트
本当は50歳まで現役を続けたかった野村克也が引退を決めた理由 「いくつになっても野球は楽しい」 (2ページ目)
https://president.jp[...]
2020-09-07
[101]
뉴스
【2月20日】1978年(昭53) 鹿児島に“落雷”カネやんに怒鳴られ、ノムさん「ハイッ!」
https://www.sponichi[...]
Sponichi Annex
[102]
라디오
伊集院光 日曜日の秘密基地
2003-10-05
[103]
뉴스
村田兆治の我が道
スポーツニッポン
2017-07-15
[104]
서적
プロ野球重大事件 誰も知らない“あの真相”
角川書店
2012
[105]
웹사이트
野村克也 “生涯一捕手”のラストイヤー/プロ野球1980年代の名選手
https://column.sp.ba[...]
2018-10-09
[106]
웹사이트
生涯一捕手ノムさん、前人未到の3000試合出場
https://web.archive.[...]
[107]
웹사이트
西武「野村克也」が引退を決めた日、「球界の寝業師」が前言撤回”の非情
https://www.dailyshi[...]
デイリー新潮
2020-05-05
[108]
서적
TBS50年史
TBS
[109]
논문
野球中継番組解説用表示装置
兼六館出版
1986-01
[110]
뉴스
ノムさん、テレ朝「野村スコープ」で革命 84年初登場、野球解説に予測導入
https://www.sponichi[...]
2020-02-12
[111]
뉴스
野球解説に革命起こした「野村スコープ」…「記録の神様」のサポート秘話 野村克也さん死去
https://hochi.news/a[...]
2020-02-12
[112]
뉴스
野村氏、解説者時代に“革命”「ノムラスコープ」
https://www.nikkansp[...]
2020-02-11
[113]
서적
野村セオリー
[114]
서적
砂まみれの名将
[115]
웹사이트
【虎番疾風録(39)】仰天ロッテ山本監督決定
https://www.sankei.c[...]
2018-10-10
[116]
웹사이트
【虎番疾風録(25)】“藤井寺のおっさん”と呼ばれる闘将・西本監督に「猛虎再建」を託したい
https://www.sankei.c[...]
2018-10-10
[117]
서적
1990ヤクルトスワローズファンブック
ヤクルト球団
1990
[118]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1989-11-06
[119]
뉴스
朝日新聞
1989-10-15
[120]
서적
女房はドーベルマン
[121]
웹사이트
【10月19日】1989年(平元) ヤクルト新監督に野村克也 ちょっとゴネてみた理由
http://www.sponichi.[...]
2011-10
[122]
서적
1990ヤクルトスワローズファンブック
ヤクルト球団
1990
[123]
뉴스
1989-10-14
[124]
서적
甲子園への遺言
[125]
서적
私の教え子ベストナイン
[126]
서적
甲子園への遺言
[127]
간행물
スポーツニッポン角盈男の我が道
2016-03-26
[128]
서적
週刊ベースボールプラス6 1950-2011 わが愛しのスワローズ 国鉄から始まった栄光の軌跡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1
[129]
뉴스
尾花高夫の我が道⑰、古巣の「野村再生工場」で優勝
2024-02-18
[130]
뉴스
1997-05-17
[131]
서적
週刊ベースボールプラス6 1950-2011 わが愛しのスワローズ 国鉄から始まった栄光の軌跡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1
[132]
서적
寛容力
[133]
서적
寛容力
[134]
웹사이트
スランプ短い虎の4番ゴメス 秘密は野村ID オマリー補佐が注入
https://www.zakzak.c[...]
2014-08-29
[135]
웹사이트
野村克也氏直撃インタビュー(上) 矢野新監督へ「阪神はマスコミとOB会が厄介…覚悟しておいた方がいい」 (2/3ページ)
https://www.zakzak.c[...]
[136]
서적
無形の力 私の履歴書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06
[137]
서적
ダメ虎を変えた! ぬるま湯組織に挑んだ、反骨の11年
朝日新聞社
2011
[138]
뉴스
八木澤荘六の我が道㉘、阪神への置き土産となった井川慶
2021-11-29
[139]
간행물
サラリーマン球団社長、主流派閥との闘い
2020-02-13
[140]
웹사이트
阪神が松坂大輔氏のドラフト指名を見送った衝撃の理由…虎伝説のスカウト「野村さんが来た時点で消えた」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23-11-12
[141]
간행물
週刊プロ野球セ・パ誕生60年 第36号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99
[142]
웹사이트
大阪日刊スポーツ・なにわWEB・99年タイガース戦跡 野村、64歳にして初の退場
https://web.archive.[...]
2002-06-17
[143]
웹사이트
野村克也、“喧嘩上等”だった現役時代 本塁突入の相手に…
https://dot.asahi.co[...]
[144]
웹사이트
【8月7日】1999年(平11) プロ野球人生37年 野村克也 初の退場処分
https://www.sponichi[...]
2012-08-07
[145]
웹사이트
野村克也と伊原春樹に決定的な亀裂。ある選手の盗塁失敗が原因だった
https://sportiva.shu[...]
2020-11-24
[146]
간행물
週刊プロ野球セ・パ誕生60年 第37号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0
[147]
뉴스
柏原純一の我が道㉖、阪神で恩師・野村監督とコンビ復活
スポーツニッポン
2022-03-27
[148]
웹사이트
野村監督に「お前はホンマにバカだな」 HRゼロ→翌年規定到達で13発…響いた“説教”
https://full-count.j[...]
Full-Count
2024-09-05
[149]
뉴스
阪神、松井ヘッドら3コーチ解任へ
時事通信
2001-10-08
[150]
뉴스
阪神の来季スタッフが決定
時事通信
2001-10-19
[151]
웹사이트
虎を変えた名将 気の毒な退団劇の顛末
http://www.m-tigers.[...]
[152]
서적
ダメ虎を変えた!ぬるま湯組織に挑んだ、反骨の11年
[153]
뉴스
広澤克実の我が道29
スポーツニッポン
2014-03-29
[154]
뉴스
岡田彰布、俺の頭はなぜデカイのか<第25回>野村さんとは選手に対する考え方が根本から違った
日刊ゲンダイ
2015-10-08
[155]
웹사이트
虎に浸透させた「野村の考え」 イメージに反して意外な一面も
http://www.m-tigers.[...]
[156]
웹사이트
ノムさん「エースと4番は育てられない」…痛感させられる藤浪の資質
https://www.sanspo.c[...]
[157]
간행물
2003年日本野球連盟連盟報
財団法人日本野球連盟
2003
[158]
서적
砂まみれの名将
[159]
웹사이트
野村克也氏も出席のOB会 廃部から13年。未だに熱く繋がるシダックスと野球の幸せな関係
https://news.yahoo.c[...]
2019-03-01
[160]
웹사이트
中日の新監督候補に社会人シダックス監督の野村克也氏
https://web.archive.[...]
2003-09-27
[161]
서적
砂まみれの名将
[162]
서적
砂まみれの名将
[163]
서적
砂まみれの名将
[164]
서적
砂まみれの名将
[165]
서적
砂まみれの名将
[166]
서적
砂まみれの名将
[167]
웹사이트
シダックス2006年9月7日付プレスリリース
https://www.shidax.c[...]
2006-09-07
[168]
뉴스
ノムさん“田尾内閣は全員辞めてもらう”
スポーツニッポン
2005-10-08
[169]
웹사이트
[虎四ミーティング]川崎憲次郎(プロ野球解説者)<後編>「“怖さ”の松井と“嫌らしさ”の川相」
https://gendai.media[...]
2012-03-23
[170]
서적
野球のメキキ 観戦力が高まる本
東邦出版
2012
[171]
웹사이트
辻発彦が初対面の野村克也から言われたまさかのひと言に発奮。「ヤクルトには絶対に負けてたまるか!」
https://sportiva.shu[...]
2023-02-11
[172]
간행물
プロ野球選手カラー名鑑2009
日刊スポーツ出版社
2009
[173]
웹사이트
【自民党大会】ノムさん、自民と楽天にチクリ
https://web.archive.[...]
2010-01-24
[174]
웹사이트
野村前監督、党大会で自民を叱咤 「巻き返しに向け頑張れ」
https://web.archive.[...]
2010-01-24
[175]
웹사이트
自民党大会:負けに不思議の負けなし ノムさん、敗因を分析
http://mainichi.jp/s[...]
2010-01-25
[176]
웹사이트
ノムさんが自民党に辛口声援「落とし穴あり」
http://www.sanspo.co[...]
2010-01-25
[177]
웹사이트
ノムさん自民党大会で講演、敗因指摘!
https://www.nikkansp[...]
2010-01-25
[178]
웹사이트
ノムさんボヤキ健在!自民に毒舌エール
http://www.daily.co.[...]
2010-01-24
[179]
웹사이트
小泉進次郎氏に、楽天の野村・前監督が「実にしっかりしている」/自民党大会
http://news.kanaloco[...]
2010-01-25
[180]
웹사이트
【枡田絵理奈】名将・野村克也監督が選手に話しかけない理由とは?
http://sportiva.shue[...]
2010-08-19
[181]
웹사이트
球団名誉監督に関して
http://www.rakutenea[...]
2012-12-29
[182]
웹사이트
ノムさん日体大監督も!将来の就任要請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3-03-04
[183]
웹사이트
ノムさん、田中理恵に「運動選手は美人いないのに」
http://www.sanspo.co[...]
産経新聞社
2013-03-04
[184]
웹사이트
野村克也氏「あなた嫌い」徳光アナに激怒
https://www.nikkansp[...]
2013-12-16
[185]
웹사이트
ノムさん寄贈品「邪魔なんか…」…倉庫に塩漬け
https://web.archive.[...]
2017-01-06
[186]
웹사이트
野村克也氏「突然死のような…いい奥さんでしたよ」 - おくやみ
https://www.nikkansp[...]
2017-12-08
[187]
문서
1969年にサンケイアトムズの経営にヤクルトが参画して50周年目に当たる(1969年は産経新聞社との形式上共同経営による「アトムズ」、1970年から「ヤクルトアトムズ」、1974年に現在の「(東京)ヤクルトスワローズ」)
[188]
웹사이트
84歳ノムさんが古田らに支えられ打席に/写真特集
https://www.nikkansp[...]
[189]
웹사이트
ヤクルト・高津監督にノムラの考え伝授!野村氏「弱者が強者になれる」
https://www.sanspo.c[...]
2020-01-21
[190]
웹사이트
カネやん安らかに 金田正一さんお別れの会に王氏、長嶋氏ら参列
https://mainichi.jp/[...]
2020-01-21
[191]
웹사이트
野村克也さん急逝…戦後初の3冠王からID野球 愛のあるボヤキもう聞けない
https://hochi.news/a[...]
2020-02-11
[192]
웹사이트
野村克也さん死去、84歳…65年に三冠王・ヤクルト監督で日本一3度
https://www.yomiuri.[...]
2020-02-11
[193]
웹사이트
野村克也さん(84)死去 家政婦が自宅の浴槽で発見
https://news.tv-asah[...]
2020-02-11
[194]
웹사이트
野村克也さんの訃報をNY紙が異例の追悼特集「最も偉大な捕手の1人」
https://full-count.j[...]
Full-Count
2020-02-16
[195]
웹사이트
沙知代さんと同じ墓で仲良く 野村克也さん一周忌法要と納骨式
https://www.zakzak.c[...]
2021-01-25
[196]
웹사이트
「野村克也をしのぶ会」神宮球場でしめやかに…多くの球界関係者が参加
https://www.sanspo.c[...]
2021-12-11
[197]
간행물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0-04
[198]
방송
NANDA!?
2003-09
[199]
서적
伝説のプロ野球選手に会いに行く2
白夜書房
[200]
간행물
「ノムラの教え」に耳を傾けろ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8-05-12
[201]
서적
プロ野球データブック'84
講談社文庫
1984
[202]
웹사이트
Currently viewing seasons between 1871 and 2014
http://www.fangraphs[...]
FanGraphs.com
[203]
서적
メジャーリーグこそ我が人生:パンチョ伊東の全仕事
サンケイスポーツ
[204]
서적
メジャーリーグこそ我が人生:パンチョ伊東の全仕事
サンケイスポーツ
[205]
서적
プロ野球記録大鑑
講談社
[206]
웹사이트
谷繁“ノムさん超え”プロ野球新記録の捕手2922試合出場
https://www.sponichi[...]
スポニチアネックス
2014-08-27
[207]
서적
熱闘!プロ野球三十番勝負
文藝春秋
1990
[208]
웹사이트
王 貞治、長嶋茂雄、田中将大、大谷翔平……球界のレジェンド・野村克也が『パワプロ』各選手&自身の能力データをボヤキながら分析してみた
https://news.denfami[...]
2018-09-28
[209]
서적
巧守巧走列伝
文藝春秋
1989
[210]
웹사이트
現役時代に本盗7度成功の野村克也さん、生かされた14度本盗失敗の経験値
https://hochi.news/a[...]
スポーツ報知
2020-05-11
[211]
서적
月見草の唄 - 野村克也物語
朝日新聞社
1981
[212]
웹사이트
野村克也氏入院、血管が…解離性大動脈瘤 - 野球ニュース
https://www.nikkansp[...]
2010-05-13
[213]
웹사이트
失ってわかる幸福な時間 野村克也がスワローズを率いた9年間は最高だった
https://bunshun.jp/a[...]
文春オンライン
2020-02-12
[214]
웹사이트
野村克也の遺言「克則よ、辛い思いをさせてしまったこと、許してくれるか」 ノムさんが息子に遺した指導者の掟 (7ページ目)
https://president.jp[...]
2020-03-13
[215]
서적
ホームラン・350本
[216]
서적
月見草の唄 - 野村克也物語
朝日新聞社
1981
[217]
웹사이트
負けず嫌いの塊 王さん「600号争いすごい意地」 野村克也さん死去: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18]
웹사이트
古田敦也氏、恩師・野村克也氏を追悼「頭を使えば勝てると。弱小チームが強くなった」
https://full-count.j[...]
2020-02-11
[219]
웹사이트
南海グリーンの青少年時代|広尾晃さんインタビューvol.1
https://news.livedoo[...]
[220]
방송
ダウンタウンDX
2012-08-16
[221]
웹사이트
野村克也、戦後初の“三冠王”は「実力四分、ツキ六分」、ゲン担ぎの原点とは
https://www.dailyshi[...]
2020-05-06
[222]
서적
私の教え子ベストナイン
[223]
웹사이트
松村邦洋、野村氏からものまねで「何言っても怒らない」
https://www.sanspo.c[...]
2020-02-11
[224]
웹사이트
「クビになったら…」 名将・野村克也氏が「人生最大の脅し文句」を使った場面とは
https://www.dailyshi[...]
2021-02-26
[225]
웹사이트
名将・野村監督が清原氏に伝えたかったメッセージ
https://web.archive.[...]
2020-06-29
[226]
웹사이트
清原和博氏 直筆便せん6枚に野村克也氏への思いつづる「裏切ってしまい心からおわびしたいと…」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20-02-16
[227]
서적
プロ野球選手の男たち、エースの品格
[228]
서적
私が見た最高の選手、最低の選手
[229]
서적
フルタの方程式
[230]
간행물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
1960-07
[231]
웹사이트
阪神・野村克則コーチ「少しでも父の教えを」選手育成に使命感
https://www.daily.co[...]
デイリースポーツ online
2021-12-12
[232]
웹사이트
新庄ビッグボス 阪神時代に茶髪で野村監督から“黒髪指令”も「髪で野球するんですか?」でOKに
https://www.sponichi[...]
2021-12-09
[233]
서적
優柔決断のすすめ
PHP新書
2009
[234]
서적
優柔決断のすすめ
[235]
웹사이트
楽天 リンデン解雇へ 監督批判で謹慎40日+罰金600万円
http://www.sponichi.[...]
スポニチ Sponichi Annex
2010-09-07
[236]
간행물
Sports Graphic Number
文藝春秋
2011-07-21
[237]
간행물
週刊ポスト
2008-07-18
[238]
웹사이트
バレンティン本塁打記録更新、続出する著名人の“否定的発言”がネット上で炎上?
https://biz-journal.[...]
2013-09-22
[239]
웹사이트
二宮清純「野村克也“外野手出身に名監督なし”を検証する」
https://gendai.media[...]
2014-10-17
[240]
서적
嫌われ者の流儀
[241]
웹사이트
巨人・阿部と小林は大卒 「大学出に名捕手いない」と野村氏
https://www.news-pos[...]
2015-09-20
[242]
웹사이트
投手のクイックモーション、生みの親は福本豊氏
https://www.daily.co[...]
株式会社デイリースポーツ
2020-12-18
[243]
웹사이트
野村克也氏「プロ野球レベル低下はキャッチャー不在が原因」
https://www.zakzak.c[...]
2016-11-05
[244]
서적
僕の愛した野球
海鳥社
1995
[245]
서적
南海ホークス ナンバ 栄光と哀しみの故郷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4
[246]
뉴스
野村ID野球を形作った出会い 鶴岡監督は反面教師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1-02-14
[247]
서적
南海ホークス ナンバ栄光と哀しみの故郷 (追憶の球団)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48]
서적
南海ホークス ナンバ栄光と哀しみの故郷 (追憶の球団)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4
[249]
뉴스
確執氷解してた?野村21世紀の後日談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1-01-07
[250]
뉴스
「おれがそんなことするわけないやろ」/鶴岡氏編2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4-02-22
[251]
서적
プロ野球ウラ人脈大全
宝島社
2012
[252]
잡지
阿川佐和子のこの人に会いたい
週刊文春
2018-06-28
[253]
웹사이트
野村克也×江本孟紀「2018プロ野球開幕“ど真ん中大放談”」(1)俺が監督なら青木は獲らん
https://www.asagei.c[...]
2024-04-20
[254]
웹사이트
ホークス、開幕2戦目は「レジェンドデー」 野村克也氏、江本孟紀氏が来場
https://full-count.j[...]
2024-04-20
[255]
웹사이트
ノムさんのボヤキが止まらない【1】江本孟紀を獲った芝居 ホークス80周年トークショーより
https://web.archive.[...]
2018-04-01
[256]
웹사이트
江本氏、野村さんへメッセージ「あちらの世界では野球を忘れてのんびりしたらどうでしょうか」
https://www.sanspo.c[...]
2024-04-20
[257]
웹사이트
ノムさんが南海に帰ってくる!プロジェクト発起人・江本氏“代弁”「あの世で喜んでいるでしょう」
https://www.sanspo.c[...]
2020-10-29
[258]
웹사이트
ノムさんノリ酷評「野球選手じゃない」
https://www.daily.co[...]
2022-08-31
[259]
웹사이트
張本勲氏「令和の怪物って…野球界は誰も認めてない」先行報道に苦言
https://www.daily.co[...]
株式会社デイリースポーツ
2022-12-11
[260]
뉴스
野村克也氏が選んだ「平成のベストナイン」 監督は?
https://hochi.news/a[...]
スポーツ報知
2024-08-20
[261]
웹사이트
ダルビッシュ有が考える、日本野球界の問題「時代遅れの人たちを一掃してからじゃないと、絶対に変わらない」
https://real-sports.[...]
2024-08-20
[262]
뉴스
産経新聞
1993-04-30
[263]
뉴스
産経新聞
1999-07-12
[264]
서적
あぁ、阪神タイガース
[265]
서적
ダイエー/オリックス球団買収の真相
ブックマン社
1989
[266]
뉴스
歴史的和解!南海ノムさん、36年ぶり復活
http://www.sanspo.co[...]
サンケイスポーツ
2013-09-01
[267]
간행물
ホークス75年史 HAWKS 1938-2013
http://www.sportscli[...]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68]
웹사이트
孫オーナーからの祝電に驚き「恐縮」した野村克也氏
https://www.nikkansp[...]
2021-02-15
[269]
웹사이트
【OB戦】ノムさん、ぼやき全開で存在感「ホークスユニ嫌い」
https://hochi.news/a[...]
2021-02-15
[270]
웹사이트
野村克也氏「感謝しかない」ホークス24年間の思い
https://www.nikkansp[...]
2021-02-15
[271]
웹사이트
「君に、19番をつけてほしい」ノムさんが甲斐拓也に託したもの。(2)
https://number.bunsh[...]
2020-11-08
[272]
웹사이트
「君に、19番をつけてほしい」ノムさんが甲斐拓也に託したもの。(1)
https://number.bunsh[...]
2020-11-08
[273]
웹사이트
ノムさん、ホークス60年ぶり巨人撃破に感無量 「原は何やってんだ。クビだな」ボヤキ節も
https://www.zakzak.c[...]
2019-11-24
[274]
웹사이트
ノムさんの展示なし「南海ホークスメモリアルギャラリー」に見た“遺恨”
https://www.tokyo-sp[...]
2020-11-05
[275]
웹사이트
帰らざる黄金の日々 南海ホークスへの鎮魂歌
http://www.ktv.jp/do[...]
[276]
웹사이트
「おかえり!ノムさん 大阪球場に。」始動 江本氏「南海に必要不可欠の方ですから」(1)
https://www.sanspo.c[...]
2020-11-05
[277]
웹사이트
野村克也さん、球界入り「きっかけは新聞」 本紙創刊80周年で語る
https://www.sankei.c[...]
2021-02-14
[278]
웹사이트
若手社員ら発案が実結んだノムさん里帰り 現役時代知らない世代が不思議な縁から奔走
https://www.sanspo.c[...]
2021-02-14
[279]
웹사이트
「おかえり!ノムさん 大阪球場に。」始動 江本氏「南海に必要不可欠の方ですから」(2)
https://www.sanspo.c[...]
2020-11-05
[280]
웹사이트
江本孟紀氏×楽天・野村克則育成捕手コーチ、ノムさん一周忌に追悼思い出対談(4)
https://www.sanspo.c[...]
2021-02-11
[281]
웹사이트
野村克也さん “大阪球場”へ帰ってきた 愛用の品々が「南海ホークスメモリアルギャラリー」に展示
https://www.sponichi[...]
2021-02-14
[282]
웹사이트
江本-野村の南海バッテリー、本拠地跡地で“復活”
https://www.nikkansp[...]
2021-02-14
[283]
웹사이트
楽天・野村監督が京丹後市の名誉市民に…9月に正式決定
http://www.seikatubu[...]
報知新聞社
2009-08-11
[284]
웹사이트
東京都文化賞・都民文化栄誉章
http://www.seikatubu[...]
東京都生活文化局
null
[285]
웹사이트
歴代ナイスカップル表彰
http://www.422fufu.c[...]
講談社
null
[286]
웹사이트
表彰
http://www.city.kyot[...]
京丹後市
null
[287]
웹사이트
2005年6月のTBSラジオプロ野球中継公式サイト内放送予定表
https://web.archive.[...]
[288]
Oricon TV
[289]
웹사이트
12日「徹子の部屋」で野村克也さん追悼 先月収録の未公開回を放送
https://www.sponichi[...]
2020-02-11
[290]
웹사이트
NHK 「クロ現」はじめ野村さん追悼番組放送
https://www.sponichi[...]
2020-02-13
[291]
웹사이트
「勝てる組織の作り方! 」
https://www.tv-tokyo[...]
2008-01-07
[292]
문서
NHK 방송국 정보
[293]
웹사이트
The GAMEゲーム~震えた日~ 1992年プロ野球日本シリーズ~森 西武VS野村 ヤクルト 伝説の死闘~
https://www.bsfuji.t[...]
[294]
웹사이트
爆報!THE フライデー 2017/09/22(金)19:00 の放送内容
https://datazoo.jp/t[...]
富士ソフト株式会社
2017-09-22
[295]
웹사이트
野村克也さん、生前最後のテレビ出演 亡くなる18日前のドッキリロケで語ったこと
https://www.oricon.c[...]
2020-02-20
[296]
Oricon CM
[297]
웹사이트
ノムさん“ボヤキ”煎餅が爆誕 「オレの人生は2番ばかり。それでいい」名言がおみやげ品に
https://maidonanews.[...]
2022-01-03
[298]
뉴스
野村克也さん(84)死去 TBS NEWS
https://news.tbs.co.[...]
2020-02-11
[299]
뉴스
野村氏の息子・克則氏は涙 「急すぎて受け入れられない」 死因は妻と同じ「虚血性心不全」
https://www.daily.co[...]
2020-02-11
[300]
문서
null
[301]
문서
null
[302]
문서
null
[303]
문서
null
[304]
서적
無形の力 私の履歴書
日本経済新聞社
2006
[305]
문서
null
[306]
문서
null
[307]
문서
null
[308]
문서
null
[309]
뉴스
【背番号物語2019】「#19」不屈のエースたちの勲章に返り咲いた“雑草”
https://column.sp.ba[...]
週刊ベースボール
2019-01-26
[310]
뉴스
野村克也さん死去、84歳…65年に三冠王・ヤクルト監督で日本一3度
https://www.yomiuri.[...]
2020-02-11
[311]
뉴스
野村克也さん(84)死去 家政婦が自宅の浴槽で発見
https://news.tv-asah[...]
2020-02-11
[312]
뉴스
【楽天】野村克也元監督の死去を公式発表…死因は「虚血性心不全」
https://hochi.news/a[...]
2020-02-11
[313]
문서
null
[314]
문서
null
[315]
문서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